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조령 / 鳥嶺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사이에 있는 고개. 동경 128°03′, 북위 36°45′에 위치하며, 높이는 642m이다. 마역봉(920m)과 깃대봉(835m)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1966년에는 문경 조령 관문이 사적 제147호로, 1981년에는

  • 조령산 / 鳥嶺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17m. 소백산맥 줄기에 있는 산으로, 산맥의 시발점인 태백산부터 소백산·문수봉·월악산을 지나 조령산에 이르는 구간은 고봉이 연속되나 조령산을 지나면서 산들이 차차 낮아져 속리산에 이른다. 조

  • 조발도 / 早發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조발리에 있는 섬. 동경 127°43′, 북위 34°38′에 위치한다. 여수에서 남서쪽으로 26.8㎞, 화양반도에서 남쪽으로 0.8㎞ 지점에 있다. 면적은 0.72㎢이고, 해안선 길이는 7.8㎞이다. 약 400여년전 밀양박씨(密陽朴氏)와 김해김씨

  • 조상축원 / 祖上祝願 [문학/구비문학]

    무속의식 중 조상거리나 안택 때 부르는 축원무가. 조상신에 대하여 자손들의 수명·복록·재수 등을 기원하는 것이다. 조상에 대한 독립된 제차(祭次)가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축원 중에 「조상축원」은 삽입된다. 대체로 인생무상을 노래하면서 조상의 혼령을 위로하는 내용과

  • 조선고어사전 / 朝鮮古語辭典 [언어/언어/문자]

    정희준(鄭熙俊)이 펴낸 우리말 고어사전. 1949년 동방문화사(東邦文化社)에서 간행하였다. 표지 등에 표제명이 ‘옛말옛일 이두옛책 조선고어사전’이라고 하였으며, 내제명은 ‘조선고어사전부국문고서약지(朝鮮古語辭典附國文古書略誌)’로 되어 있다. 1955년 5월 동국문화사에서

  • 조선고전가사집 / 朝鮮古典歌詞集 [문학/고전시가]

    1946년 박인수가 전래하는 전통 시가의 정확한 가사(歌詞)를 기록할 목적으로 편찬한 가집.종합가집·가곡류. 총 22절목으로 나누어 우·계면과 농·락·편 악곡분류에 의한 가곡(119수)과 시조(136수)와 남청지름(26)·여청지름(4)·사설시조(12)·파연곡(1)을 수

  • 조선관역어연구 / 朝鮮館譯語硏究 [언어/언어/문자]

    문선규(文璇奎)가 지은 『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에 대한 연구 및 주석서. 제1장 서론에서는 ‘『조선관역어』의 원류와 편찬 시기, 『조선관역어』의 전본 및 원문의 기술법, 역어에 적용된 중국어 음운 구명과 기호의 설정’ 등의 기초적인 문제를 다루었다. 제2장은 ‘역어의

  • 조선교육무용연구소 / 朝鮮敎育舞踊硏究所 [예술·체육/무용]

    1946년 함귀봉이 조택원, 정지수, 조익환, 한동인, 장추화 등의 무용인들과 함께 이상적인 무용학교의 정립과 현대무용(신흥무용)의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한 연구소. 문교부와 긴밀한 협조관계를 맺고 발족한 조선교육무용연구소는 당시 문교부장관 수석비서관이던 심태진의 협조로

  • 조선국조신화 / 朝鮮國祖神話 [문학/구비문학]

    조선의 건국신화. 조선 왕조의 건국신화를 종합적인 체계로 세운 것으로는 「용비어천가」가 있는데, 이 작품을 통하여 「조선국조신화」를 엿볼 수 있다. 이 신화의 특징은 국조의 인물들을 모두 용(龍)으로 상징한 점이다. 조선의 국조신화에 비하면 고려의 국조신화는 훨씬 규모

  • 조선말규범집<1> [언어/언어/문자]

    1966년에 북한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에서 낸 어문 규정집. 『조선말 규범집』은 1966년 6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에서 낸 북한의 어문 규정집으로, 사회과학원 출판사에서 간행한 것이다. 이 규범집은 김일성이 1966년 5월 4일에 북한 언

페이지 / 4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