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권호신 / 權虎臣 [종교·철학/유학]
1558년(명종 13)∼1629년(인조 7). 조선 중기 유학자‧효자. 조부는 권기수, 부친 권인의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권준신‧권언신이 있다. 1582년(선조 15) 식년시 생원 2등 25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에 오르지 않고,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대
권화사 / 勸花使 [정치·법제/외교]
고려시대 각종의 책봉례를 행할 때 국왕이 보내는 사절단의 일원. 태후·왕비·태자·왕자·왕녀 등에 대한 책봉이 끝나고 축하 연회를 열 때, 주인·책사·부책사 및 독책관 등에게 왕이 하사한 꽃(宣花)과 술(宣酒)을 압화사로부터 넘겨 받아 꽂아 주고 따라 주는 책임을 맡았
권환 / 權瑍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권근중,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권대윤, 어머니는 순천김씨로 현감 두명의 딸이다. 숙종대에 영의정을 지낸 권대운의 조카이다. 이민구에게 수학하였으며, 허목을 사사하였다. 성균관대사성, 개성부유수 등
권황 / 權滉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권상, 어머니는 나운걸의 딸이다. 1576년(선조 9) 진사시에 합격하고, 음보로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형조좌랑, 호조좌랑, 장악원첨정, 한산군수, 마전군수를 역임하였다.
권효가 / 勸孝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모두 108구이다. 부녀자들에게 효도를 권장하는 내용의 작품으로, 만물 중에 사람이 으뜸인 것은 삼강오륜이 있기 때문이며, 그 가운데 효가 백행의 근본임을 노래하고, 특히 부모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양지효
궤 / 簋 [정치·법제]
국가 제례 때 메기장[黍]과 찰기장[稷]을 담는 둥근 모양의 제기. 궤는 구리로 주조하여 만든 둥근 모양의 제기이다. 궤는 보와 짝을 이루는 데 보가 사각형 모양인 반면 궤는 원형 모양이다. 보에는 쌀과 기장쌀을 담으며, 궤에는 메기장과 찰기장을 담는다. 보와 궤 모
궤산봉 / 机山峯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읍·주남면과 무산군 연사면에 걸쳐 있는 산. 궤산봉(机山峯)의 높이는 2,277m로, 궤상봉(櫃床峯)·괘상봉(掛上峰)·도봉(兜峰) 등과 함께 함경 산맥의 머리 부분을 이룬다. 서북쪽 산록은 완경사이며 두만강의 지류인 서두수(西頭水)·연면수(延面水)·
궤장 / 几杖 [정치·법제/법제·행정]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왕조에서 70세 이상의 연로한 대신들에게 하사한 안석과 지팡이. 조선시대의 안석은 양쪽 끝이 조금 높고 가운데는 둥글고 오목하였다. 지팡이의 머리는 비둘기 모양으로 장식하였다. 국가에서 궤장의 하사는 연로한 대신을 극히 우대하는 예법
귀걸이 / 耳飾 [생활/의생활]
귓볼에 붙이는 장신구. 사람의 몸을 치레하기 위한 장신구 중에서 가장 일찍부터 사용된 것으로, 고대 동방의 여러 나라에서는 일종의 부적으로 소중히 여겨져왔다. 중국에서는 전국시대 말에서 한대에 걸쳐 이당(珥璫)이라고 불리는 귀걸이가 성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일찍부터
귀계유고 / 歸溪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김좌명의 시·소차·계사·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2책. 활자본. 간행 경위 및 연대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상은 표제가 ‘부귀계유고(附歸溪遺稿)’로 되어 있고, 시 56수, 소차(疏箚) 28편, 서(書)·계(啓)·계사(啓辭) 7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