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민병한임명문서 / 閔丙漢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5월 24일. 종2품 가의대부 홍릉제조 민병한(閔丙漢)을 궁내부특진관 칙임관 1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궁내부대신 이재극(李載克)이 봉칙하였다. 대한제국기에는 궁내부의 칙임관으로 임명, 왕실의 업무에 관한 자문역할을 맡았다.

  • 민보의 / 民堡議 [언론·출판]

    저자 정약용(1762-1836). 필사본. 1책. 이 책은 1책 52장이다. <민보의>는 총의에 해당하는 5칙과 <민보택지지지법>, <보원지제>, <민보수어지법>, <편오지법>, <지량지법>, <농작지법>, <경야지법>, <각보상의지법>, <해도설보지법>, <산사설보지

  • 민시중 / 閔蓍重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77(숙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여준 증손, 할아버지는 기, 아버지는 광훈, 어머니는 형조판서 이광정의 딸이다. 정중과 유중의 형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64년(현종 5) 춘당대문과 회시에서 장원급제하여 전적이 된 뒤 지평·남양현감·이

  • 민암부 / 民巖賦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조식(曺植)이 지은 부(賦). 모두 61구 421자.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반항적인 백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풍자성이 짙은 문학작품이다. 『남명집』 제1권에 실려 있다. 조식은 「민암부」에서 당시 전제군주체제에서는 임금에게 무조건 순종하는 것을 충(忠)이

  • 민여검 / 閔汝儉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구손 증손, 할아버지는 제인, 아버지는 사용, 어머니는 김승의 딸이다. 1613년(광해군 5)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승문원정자, 전적, 곽산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충심이 높고 치적이 우수하여 품복을 특

  • 민옹전 / 閔翁傳 [문학/한문학]

    1757년(영조 33)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전기(傳記). 실존 인물인 민유신(閔有信)이 죽은 뒤에 그가 남긴 몇 가지 일화와 작자 스스로 민유신을 만나 겪었던 일들을 엮고 뇌(誄)를 붙인 전기이다. 『연암별집 燕巖別集』「방경각외전 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박지

  • 민우수 / 閔遇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94∼1756). 문충공 민진후의 아들이다. 봉릉참봉·세자세마·명릉참봉 등을 거쳐 사헌부대사헌·성균관좨주·세자찬선·원손보양관 등을 역임하였다. 사후 자헌대부 좌참찬에 증직되었다. 저서로는《정암집》이 있다.

  • 민유중 / 閔維重 [종교·철학/유학]

    1630(인조 8)∼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여준의 증손, 할아버지는 기, 아버지는 광훈, 어머니는 이광정의 딸이다. 숙종의 비 인현왕후의 아버지이다. 대사헌 기중과 좌의정 정중의 동생이다. 1651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을 거쳐 예문

  • 민응기 / 閔應祺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학자. 이황의 문인이다. 1565년(명종 20) 왕자의 사부가 되어, 선조연간에도 그 직에 머물렀다. 벼슬은 현감에 그쳤으나, 그가 가르쳤던 광해군이 1608년 즉위하여 왕자 때의 사부였던 그를 하락·박광전 등과 함께 추모하면서 제물을 내려주

  • 민응수 / 閔應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4∼1750) 광훈 증손, 할아버지는 시중, 아버지는 진주, 어머니는 정상징의 딸이다. 1728년 이인좌의 난 때 호서안무사의 종사관으로서 엄정하게 군기를 잡는 공을 세워 동래부사가 되었으며, 후에 우의정에 이르렀다. 후에 이광좌·조태억의 관작추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