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하위지 / 河緯地 [종교·철학/유학]

    1412(태종 12)∼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윤 증손, 할아버지는 지백, 아버지는 담, 어머니는 유면의 딸이다. 1438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집현전부수찬에 임명되었다. 집현전부제학, 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노량진의 민절서원, 영월의 창절사,

  • 하진 / 河溍 [종교·철학/유학]

    1597(선조 30)∼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결 7세손, 기곤의 증손, 할아버지는 한, 아버지는 공효, 어머니는 윤기의 딸이다. 1633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병조낭관, 헌납, 지평을 역임하였다. 저서로『태계문집』 4책이 있다.

  • 하해관 / 河海寬 [종교·철학/유학]

    1634(인조12)∼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학자. 한 증손, 할아버지는 공효, 아버지는 진이다. 13세에 허목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성년이 되어서는 하홍도 문하에 출입하면서 조식의 학문을 사숙하였다. 효행도 뛰어났으며,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을 중심으로

  • 학고집 / 鶴皐集 [종교·철학/유학]

    김리만의 문집. 11권 6책. 권일의 첫머리에는 총목차, 권육까지는 한시가 수록되었다. 권칠부터 권십일까지는 산문이 실려 있다. 서두의 총목차에는 각권의 시제목만 나열되어 있으나, 실제 본문을 보면 먼저 시의 체제를 분류한 다음 한시를 실어놓았는데 순서는 총목차와 같

  • 학암집 / 鶴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조문명의 시문집. 8권 6책. 필사본. 권두에 정조의 어제서문이 실려 있으나, 그밖에 자세한 간행경위는 알 수 없다. 권1·2는 시 506수, 권3∼5는 소차 73편, 계 13편, 의 15편, 권6은 응제문 4편, 서 4편, 기 3편, 발 6편, 잡저

  • 학암집 / 鶴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최신의 시문집. 6권 3책. 신연활자본. 1884년(고종 21) 9대손 최병진이 편집간행하였다. 송근수의 서문, 권돈인의 구서, 권말에 홍직필의 구발과 심순택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3수, 소 3편, 공사 1편, 서 28편, 권2∼5에 송시열에

  • 학포집 / 學圃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정훤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59년(철종 10)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상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시 50수, 권2에 서 7편, 기 4편, 권3에 제의 2편, 제문 10편, 권4에 부록으로 행록·단성지·만장·제문·행장·묘

  • 한경원 / 韓敬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7∼?). 1843년(헌종 9)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공조판서·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1887년에는 갑신정변의 주모자들과 내통한 지석영·지운영 등을 국문하도록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 한계문집 / 寒溪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오선기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손자 성재와 증손 수규가 편집해놓은 것을 1823년(순조 23) 매림서원의 사림들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시찬의 서문이, 권말에 최정진의 발문이 있다. 앞에 세계도가 있고, 이어 권1에 시 32수, 권2에 기 2

  • 한계원 / 韓啓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82). 증조는 광직, 할아버지는 치구, 아버지는 진호이다. 외할아버지는 정의준이다. 1835년(헌종 1)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후에 이조판서·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했다. 1840년에는 진위겸진향사행의 서장관으로 청나라를 다녀왔다.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