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권자신 / 權自愼 [종교·철학/유학]

    ?∼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한성부윤 권백종, 아버지는 판한성부사 권전, 어머니는 서운관부정 최용의 딸이다. 문종비인 현덕왕후의 아우이다. 좌부승지,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456년 성삼문·박팽년 등과 함께 단종복위를 도모하였으나 김질의

  • 권장군전 / 權將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주인공의 출생과 혼사 인연, 혼약의 성립과 파혼, 혼사 인연의 실현과 그 뒤의 행복이란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건은 혼사의 갈등과 극복을 축으로 하여, 세도가 이정의 어리석음과 권훈의 명석함이 대립을 이루

  • 권재대 / 權載大 [종교·철학/유학]

    1778년(정조 2)∼1859년(철종 10). 조선 후기 음관. 증조는 설서 권정열, 조부는 권사건, 부친은 권항도, 외조부는 이육, 처부는 진사 박양한이다. 1795년(정조 19) 제릉참봉에 제수되었고, 두 번이나 장헌세자의 추숭을 상소한 죄로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

  • 권전 / 權專 [종교·철학/유학]

    1371(공민왕 20)∼1441(세종 23).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증 공조참의 권정중, 아버지는 한성부윤 권백종, 부인은 최용의 딸이다. 공조참의, 호조참의, 공조참판, 판한성부사, 영의정부사 화산부원군에 추증되었다. 창렬사에 제향되었다.

  • 권점 / 圈點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요관서의 관원을 임명할 때 시행되던 제도. 추천권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추천대상자들의 명단 위에 각기 권점(○표)을 하고, 그 수를 집계하여 소정의 점수에 이른 사람을 이조에 추천하여 임명하게 하던 예비선거제도였다. 이러한 권점법이 가장 엄격하게 시행되던 부

  • 권정선 / 權靖善 [교육/교육]

    1848(헌종 14)∼? 국어학자. 조선 말기 사람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고, 만년에는 국어학연구에 힘써, 1906년『정음종훈(正音宗訓)』과 『음경(音經)』을 저술하였다. 특히, 『음경』은 그 저작목적이 문자사용의 혼란을 막고 누구나 바르게 배울 수 있는 기준을

  • 권정성 / 權定性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1751년(영조 27).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증조는 집의 권격, 조부는 한수재 권상하이다. 부친 부사 권욱과 모친 현감 김진수의 딸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목사 송병익의 딸이다. 조부 권상하의 슬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관직은 돈령

  • 권정침증시문서 / 權正忱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궁내부대신 권정침(權正忱)에게 '충헌(忠憲)'이라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직첩. 문서에는 '려국망가왈충 행선가기왈헌'이라 적어 충헌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 7월 26일 순종은 28명에게 시호를 내렸는데 당시 권정침에게 충헌

  • 권종락 / 權宗洛 [종교·철학/유학]

    미상∼1819년(순조 19). 조선 후기 학자. 죽림공 권산해 후손, 부친 권익수와 모친 이주윤의 딸 월성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간재 이헌경의 문인으로 경전의 뜻을 익혔으며, 함께 깊이 교유한 인물로는 번암 채제공, 이계 홍양호 등이 있다. 영주 금성단과 영월 창절

  • 권종원 / 權鍾遠 [종교·철학/유학]

    1880년(고종 17)~1937년. 조부는 휘 권주상, 부친은 휘 권석환이다. 공은 학문에 있어서는 실천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래서 “성현의 글을 읽고 단지 종이 위의 빈 말로만 여긴다면 만 권을 읽어도 아무런 득이 없다.”고 하였다. 것이다. 공은 진성 이씨 퇴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