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권원수실적 / 權元帥實蹟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문신·명장 권율의 행적을 모아 엮은 전기. 1책. 필사본. 편자 미상이고, 편집 연대는 19세기 후반으로 보인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도원수로서 크게 활약한 내용을 담고 있다. 여러 책에 나오는 묘지명·제문·사행(事行) 등을 모아놓았다.특히 왜

  • 권유 / 權愉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목사 권훈의 손자이며, 승지 권형의 현손이다. 1665년 (현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대사간·예문관대제학 등 요직을 맡았다.

  • 권유선 / 權有善 [종교·철학/유학]

    ?(중종)-?(선조). 아버지는 권평, 어머니는 김사검의 딸이다. 저자의 생평 자료는 8세손 권문혁까지는일부 남아 있었으나 미산정사와 고적이 1798년(정조 22) 화재로 모두 소실되어 증빙할 문헌이 거의 없다. 9세손 권석원의 가장과 용전 김철희의 묘갈명을 바탕으

  • 권응수 / 權應銖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608(선조 41). 조선 중기의 의병장·무신. 아버지는 권덕신이다. 1583년 별시무과에 급제, 수의부위권지를 거쳐 훈련원부봉사로서 의주용만을 지켰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에 돌아가 의병을 모집하여 궐기했다. 경상좌도병마절도사우후, 밀양부

  • 권응인 / 權應仁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퇴계(退溪)이황(李滉)의 제자로 시문에 능하였다. 권응인은 서류 출신인 탓에 서얼금고(서얼 출신은 벼슬에 재한을 두는 것)에 얽혀 벼슬은 겨우 한리학관(漢吏學官)에 머물고 말았다. 당대의 명문장가이다. 권응인은 송대의 시풍이 유행하던 당시의 문단에

  • 권이복 / 權以復 [종교·철학/유학]

    1740년(영조 16)∼1819년(순조 19). 조선 후기 학자. 부친 성균관생원 권염과 모친 박이상의 딸 무안박씨 사이에서 3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권이관·권이림이 있다. 대산 이상정의 문하에서 수학, 세상 명예와 이득에 뜻을 두지 않았다. 평생 학문의 기본을

  • 권이진 / 權以鎭 [종교·철학/유학]

    1668(현종 9)∼1734(영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예조좌랑 권득기 증손, 할아버지는 우윤 권시, 아버지는 현감 권유, 어머니는 산림 송시열의 딸이다. 윤증의 문인이다. 1694년(숙종 20)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한평현령, 전라도도사, 평안도관찰사 등을

  • 권익중전 / 權益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활자본. 이 작품은 전반부에서는 권익중과 이춘화의 애정관계를 엮어 놓았고, 후반부에서는 그들의 아들 권선동의 결연과정과 무용담을 표현해 놓은 특이한 소설이다. 영웅의 전기적 유형에 속하는 작품으로, 초기 전기소설(傳奇小說)의 성격을 탈

  • 권인하 / 權人夏 [종교·철학/유학]

    1805(순조 5) ∼1889(고종 26). 아버지 권택모, 어머니는 의성김씨이다. 어릴 때부터 영민하였으며 <소학>‧<효경> 등의 서적을 공부하였다. 33살 때인 1837년(헌종 3)에 정재 유치명 선생을 찾아가 <대학>‧<서명> 등을 공부하였다. 선배 학자들의 사

  • 권일신 / 權日身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학자·천주교인(1751∼1791). 1782년(정조 6)에 천주교에 입교했고, 이승훈에게 영세를 받았다. 이후 포교활동에 힘썼다. 신해박해 때 체포되어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회오문을 바쳐서 배교했다. 예산으로 이송 도중 사망했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