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문음보 / 文蔭譜 [사회/가족]
조선시대 음서제도(蔭敍制度)에 의하여 음직(蔭職)을 받은 자를 기록한 책. 편찬연대는 19세기 초로 추정되며 편자는 알 수 없다. 필사본이며 춘·하·추·동의 4권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는 규장각 도서에 하·동의 2권만이 보관되어 있다. 음직을 받은 자를 성씨·본관별로
문의읍지 / 文義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도 문의현(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조선 영조 연간(추정)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일제강점기 때 필사된 편자·편년 미상의 『문의읍지』 1책이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문장 / 門長 [사회/가족]
한 문중(門中)을 대표하는 사람. 문장은 대개 한 문중에 한 명이 있으나, 규모에 따라 대문장과 문장들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문장은 두 가지 방식에 의하여 추대된다. 보편적인 것은 항렬이 높은 사람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어른을 추대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식은 학식·항렬
문정서원 / 文井書院 [교육/교육]
황해도 봉산군(현재의 황해북도 황주군) 토성면 무정리에 있었던 서원. 1681년(숙종 7)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강석기(姜碩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 위패를 모셨다. 1703년(숙종 29) ‘문정(文井)’이라고 사
문정왕후 / 文定王后 [종교·철학/유학]
1501(연산군 7)∼1565(명종 20). 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계비. 아버지는 영돈녕부사 윤지임, 명종의 어머니이다. 1517년(중종 12)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545년 명종이 12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8년간 수렴청정을 하는 동안 동생인 소윤 윤원형에게
문중 / 門中 [사회/가족]
공동의 조상을 지닌 자손들로 이루어져 조상의 제사를 목적으로 조직된 부계 혈연집단. 종중(宗中)이라고도 하며 자손이 포함되는 범위에 따라 대문중(大門中)·파문중(派門中)·소문중(小門中)으로 구분짓기도 한다. 대문중은 동성동본의 혈족인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 파문중은 중
문진가 / 問津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시조. 작자가 편찬하고 1803년(순조 3)안시중(安時中)에 의하여 간행된 『죽계지(竹溪誌)』의 초간본 제1권인 「행후록(行後錄)」에 실려 전한다. “문상(汶上)애 아니가다 누항(陋巷) 업시리아, 여곽(藜藿)의 됴ᄒᆞᆫ 마ᄉᆞᆯ 사마
문천향교 / 文川鄕校 [교육/교육]
함경남도 문천군(현재의 강원도 문천시) 문천읍에 있는 향교. 태조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90년(성종 21)에 이건하였으며, 당시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
문체반정 / 文體反正 [문학/한문학]
조선 정조 때에 유행한 한문문체를 개혁하여 순정고문으로 환원시키려고 한 주장 및 그 사업. 문제는 박지원 일파의 문체였다. 정조는 이러한 문체를 의고문체(擬古文體)와 명나라·청나라의 패사(稗史)와 소품에서 파생된 지극히 불순한 잡문체로 여겼다. 정조는 전통의 고문가인
문포서원 / 汶浦書院 [교육/교육]
함경남도 문천군(현재의 강원도 문천시) 문천면 만포리에 있었던 서원. 1695년(숙종 21)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6년 민정중(閔鼎重)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