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권양 / 權讓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8∼1758). 1716년(숙종 42)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헌납·병조좌랑·장령 등을 두루 지냈다. 또한, 외직으로 무장·함양·한산 등지를 다니며 백성을 지성으로 다스려 칭송이 높았다.

  • 권연하 / 權璉夏 [종교·철학/유학]

    1813년(순조 13)∼1896년(고종 33).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 평생동안 학문연구와 후학양성에 전념하였다. 1879년에 경학으로 천거되어 선공감역을 제수받았다. 1881년 스승의 문집인 《정재문집》을 교감, 1882년 수직으로 돈령부

  • 권영 / 權塋 [종교·철학/유학]

    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한성부서윤 권성원 증손, 할아버지는 장령 권격, 아버지는 권상명, 어머니는 좌의정 이세백의 딸이다. 1732년(영조 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지, 사직을 역임하였다.

  • 권오복 / 權五福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권유손, 아버지는 별좌 권선, 어머니는 이조판서 이계전의 딸이다.김종직의 문하생으로 당시의 청류와 교분이 넓었고, 특히 김일손과는 막역한 사이였다.무오사화가 일어나자 향리에서 잡혀 올라와 같은

  • 권옹집 / 倦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유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902년 그의 후손 하영(夏榮)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권두에 이만좌(李晩佐)의 서문과 권말에 편자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연보·부·논·유서·문·기·서(序) 외에 「역도 易圖」

  • 권왕가 / 勸往歌 [문학/고전시가]

    승려 동화(東化, 일명 東華)가 지은 연대 미상의 불교가사. 2음보 1행으로 헤아려 1,200행이나 되는 장편가사로, 국한문혼용체이다. 주제는 중생들이 보고 아는 것이 서로 차별이 있으니 미타불을 염송하여 극락으로 왕생하라고 권한 것이다. 주요내용을 보면, 중생이 사는

  • 권왕문 / 勸往文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동화축전이 「권왕가」·「자책가」·「서왕가」 3편을 수록하여 1908년에 간행한 불교서.불교가사집. 1권. 순 한글로 되어 있으며, 「권왕가(勸往歌)」·「자책가(自責歌)」·「서왕가(西往歌)」 등 세 편이 수록되어 있다.대체로 몽매한 중생심을 깨우쳐 불심(佛

  • 권용선전 / 權龍仙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이 작품에서는 남녀 주인공이 천상인의 하강이라는 설정이 약화되었고, 주인공들의 비범한 행위보다는 일상적인 면모가 부각되고 있어서, 상당히 사실적인 경향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건 전개 자체에서 나오는 흥미보다는 주인공

  • 권우준 / 權遇準 [종교·철학/유학]

    1788년(정조 12)~1870년(고종 7). 아버지는 권약회, 어머니는 옥천김씨이다. 15,6세에 사서육경 등 서적에 통달하였다. 부모를 섬기는데 정성을 다하였으며, 거상 중에는 날마다 성묘하고 비바람이 불어도 멈추지 않았다. 재주는 총명하였고, 기운은 항상 온화하

  • 권운 / 權雲 [종교·철학/유학]

    1495~1519. 권수익의 아들로, 1516년(중종 11) 문과 급제, 수찬, 홍문관교리 등을 지냈으며, 호당에 올랐다. 향년 25세로 서울에서 죽었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