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문소만록 [문학/구비문학]

    1595년(선조 28) 윤선각(尹先覺)이 지은 만필집(漫筆集). 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저자의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비롯하여 임진왜란을 전후한 체험 및 교우 이야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밖에도 복식·풍속·예법에 관한 서술이나 을사사화나 기축년옥사(鄭汝立謀反事件

  • 문신습독관 / 文臣習讀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잡학에 정통한 문신을 양성하기 위하여 두었던 관직. 문신습독관에는『경국대전』에 한학습독관(漢學習讀官) 30인, 의학습독관(醫學習讀官) 30인, 이문습독관(吏文習讀官) 20인, 천문학습독관(天文學習讀官) 10인이 있었다고 되어 있으며, 양반자제들이 임용되었다.

  • 문안사 / 問安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문안을 목적으로 중국에 보낸 사절 또는 사신. 이 사행은 정례사행이 아닌 임시사행으로, 정사(正使)를 정1품관으로 하는 일품행으로 서장관(書狀官)만 두고 부사가 없는 단사(單使)였는데, 왕·왕비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성절사를 겸할 때는 부사를 두었다. 청나

  • 문안지 / 問安紙 [사회/가족]

    혼례를 치른 신부가 신행 전에 시가(媤家) 어른들에게 올리는 안부 편지. 문안지를 쓰게 되는 것은 혼례 후에도 일정 기간 친정에 머무르다가 시집으로 가는 습속 때문인데, 문안지의 대상은 시조부모·시부모·시숙·시고모·시외조부모·시외숙·시이모 등이다. 그런데 신부가 1년

  • 문양서원 / 文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개단리에 있었던 서원. 1612년(광해군 4)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진철(李晉哲)·이동완(李東完)·이태춘(李泰春)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

  • 문연서원 / 文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월오리에 있던 서원. 1636년(인조 14)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윤(朴潤)·박택(朴澤)·윤규(尹奎)·박정번(朴廷璠)·최여설(崔汝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해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

  • 문원보불속편 / 文苑黼黻續編 [종교·철학/유학]

    1787년(정조 11)부터 1852년(철종 3)까지 관각의 여러 형태 문장, 곧 옥책·죽책·교명·반교 등의 문장을 수록한 책. 10권 6책. 인본. 1787년(정조 11) 존현각에서 편집, 간행된『문원보불』의 속편이다. 규장각 원임제학 김흥근 등이 고정했으며, 조연흥

  • 문위 / 文緯 [종교·철학/유학]

    1554(명종 9)∼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통정대부 산두, 어머니는 함양선교랑 오세평의 딸이다. 조식·오건·정구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거창에서 의병들을 모집하고, 의병장 김면과 함께 고령에서 왜군을 맞아 싸웠

  • 문위세 / 文緯世 [종교·철학/유학]

    1534년(중종 29)∼1600년(선조 33). 문익점의 9대손, 유희춘, 이황의 문인이다. 1567년(명종 22) 진사가 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박광전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군량조달 등의 공을 세워 1595년 용담현령에 임명되었다. 1597년 정

  • 문위행 / 問慰行 [정치·법제/외교]

    조선 후기 조선에서 일본의 대마도주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사절. 조선시대 일본에 파견한 외교사절로는 조선국왕이 막부장군에게 파견하는 ‘통신사(通信使)’와 예조참의의 명의로 대마도주에게 파견하는 ‘문위행’이 있었다. 통신사가 막부와의 우호관계 수립 및 그 유지를 위한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