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문서 총 80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문서
어제《칙유능사재관》 / 御製 《飭諭陵司齋官》 [정치·법제]
칙유. 1749년(영조 25) 예조에서 인본(印本)을 각 능에 나눠 보내 재실(齋室)에 붙이게 한 것으로, 능관(陵官)과 재관(齋官)이 준행해야 할 법규를 신칙(申飭)한 칙유(飭諭)이다.
어제《칙유제침랑여예관》 / 御製 《飭諭諸寢郞與禮官》 [정치·법제]
칙유. 1769년(영조 45) 여러 침랑(寢郞)과 예관(禮官)에게 면칙(勉飭)한 칙유(飭諭)이다.
어지둔적치조방매성책 / 於之屯積置租放賣成冊 [정치·법제]
미상의 기묘년 정월에 감관 이해진(異海晉)이 작성한 적치조의 방매 내역 성책문서. 표지에 해당하는 '기묘정월 일어지둔적치조방매성책'이라는 문구가 적힌 겉장 1장과 정조(正租) 등의 방매 내역 및 가격을 적어둔 내지 1장으로 되어있다. '어지둔'은 황해도 봉산군에 있었다
어친척생신일람표 / 御親戚生辰一覽表 [정치·법제]
고종 친척의 생일과 기일을 정리한 명부. 이강(李堈)과 그의 비, 이건공과 그의 비에서부터 윤홍섭모당, 고윤자작부인 등은 생신을 기록하고, 대원왕, 대원왕비, 해풍부원군모당, 엄찬정과 그의 부인 등은 기일을 기록하였다. 종이를 부착하여 수정한 부분이 있다.
언간 / 諺簡 [문학]
조선시대 한글 편지. 언(諺)은 언문(諺文)으로서 중국 문자인 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추어 부르는 의미가 아닌 '한글'의 다른 이름이다.
언양현호적대장 / 彦陽縣戶籍臺帳 [사회/촌락]
조선 후기 호적식년을 당하여 경상도 언양현에서 관내의 호구를 조사하여 작성한 호적책.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울산광역시 울주군청에 있다. 현재 7개 식년의 것 9책이 전하고 있는데, 모두 필사본으로 기재방식은 조선시대의 호적대장 일반의 양식을 보이고 있는데, 1
엄흥도정려치제문 / 嚴興道旌閭致祭文 [문학/고전산문]
치제문. 1788년(정조 12) 10월 9일 정조(正祖)가 엄흥도(嚴興道)의 정려문(旌閭門)에 치제하게 하였다.《해석유고(海石遺稿)》권5에 수록되어 있다.
역대국왕왕비추존단자 / 歷代國王王妃追尊單子 [정치·법제]
대한제국 말기에 조선의 역대 국왕 및 왕후 중 존호, 묘호, 시호 등을 추상하거나 지위를 추존하고 그에 따라 책보를 올린 내역을 기록해 둔 것으로 보이는 목록. 《순종실록》에 의하면 1908년(순종 1) 7월 30일에 진종, 헌종, 철종에게 추존 책보를 올렸다 하고,
역대유림초기 / 歷代儒林抄記 [정치·법제]
이왕직(李王職) 인찰공책지에 필사한 문서. 설총(薛聰), 최치원(崔致遠)부터 송명흠(宋明欽), 박성원(朴性源)에 이르는 유림의 계통을 작성한 것이다. 각 인물의 성명과 자와 호, 본관, 활동시기 등을 정리하였다.
연잉군(영조)봉군망단 / 延礽君(英祖)封君望單 [정치·법제]
숙종의 서장자 금(昑)을 1699년(숙종 25) 12월에 연잉군으로 봉군하는 망단. 숙종과 숙빈최씨 사이에 태어난 숙종의 서장자 금(昑)을 연잉군으로 봉군하는 망단이다. 기두의 '이조연잉군망(吏曹延礽君望)'은 문서 제목에 해당하며, '금을 봉군하는 것으로 전교하셨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