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기단 / 氣團 [지리/자연지리]

    장기간에 걸쳐 한 지역에 정체하면서 지표면의 성질이 반영된 공기 덩어리. 공기가 장기간에 걸쳐서 한 지역에 정체하면서 지표면의 성질이 반영된 공기덩어리를 말하며, 수직적으로 3∼10km, 수평적으로 1,000km가 넘는 대규모이다. 지구상의 기단은 대륙성 극기단과 한대

  • 기독교 / 基督敎 [종교·철학/개신교]

    예수 그리스도를 신봉하는 종교. 기독교는 예수의 삶과 그 가르침을 자신의 삶 속에서 가장 의미 있는 것으로 고백하는 사람들의 종교적 경험의 총체이다. 우리나라 개항기에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티즘을 구분하지 않고 '야소교(耶蘇敎)'라는 이름으로 기독교를 지칭했다. 그러다가

  • 기러기아빠 [사회/사회구조]

    자녀 교육을 목적으로 배우자와 자녀를 외국으로 떠나보내고 홀로 국내에 남아 뒷바라지하는 아버지. 기러기 아빠는 1990년대 조기유학 열풍에서 생겨난 현상으로, 평소에는 한국에 머물며 돈을 벌다가 일 년에 한두 번씩 가족이 있는 외국으로 날아간다는 점에서 철새인 기러기와

  • 기로연 / 耆老宴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기로소에 등록된 전·현직 문신관료들을 위해 국가에서 베풀어주는 잔치. 매년 상사(上巳 : 음력 3월상순의 巳日, 혹은 3월 3일)와 중양(重陽 : 9월 9일)에 보제루(普濟樓)에서 큰 잔치를 열었다. 기로연에는 정2품의 실직(實職)을 지낸 70세 이상의 문과

  • 기본형 / 基本形 [언어/언어/문자]

    활용하는 단어에서 활용형의 기본이 되는 형태. 현행 국어에서는 대표형태의 어간에 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붙은 활용형을 기본형으로 설정한다.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된 후 그 당시 기본형에 대한 논의는 어간만을 기본형으로 보는 견해와 지금과 같이 어간에

  • 기부금 / 寄附金 [경제·산업/경제]

    자선사업이나 공공사업을 돕기 위해 대가가 없이 내놓은 돈이다.

  • 기사 / 記事 [언론·출판/언론·방송]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어떠한 사실을 알리는 글이다.

  • 기사본말체 / 紀事本末體 [역사]

    역사를 사건의 시말(始末)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이 체재의 특징은 사건의 명칭을 제목으로 내걸고 그에 관련된 기사를 모두 모아 서술하여 사건의 시말을 기술하는 방식이다. 기왕의 역사편찬 체재인 기전체와 편년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해낸 방식이다.

  • 기상재해 / 氣像災害 [지리/자연지리]

    태풍·호우·대설·폭풍 등 기상현상이 원인이 되어서 발생하는 자연재해. 최근 10년(2000~2009년)간 기상재해 현황을 보면 총 719명의 사망 및 실종, 20만 2643명의 이재민, 17조 2627억원의 재산 피해가 기상재해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 중 가장 큰 재해

  • 기술관 / 技術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의 전문기능직 관원. 잡학이라고 불린 기술학에 종사하는 관직자들을 총칭하였는데, 역관·의관·천문관·지관·산관·율관·화원·도류·금루·악생·악공·상도·지도·화사·공제·공조·재부·선부 등이 있었다.

페이지 / 1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