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5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 경기우도 / 京畿右道 [지리/인문지리]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경기도를 분할하여 설치하였던 행정구역. ‘기(畿)’는 중국의 주나라에서 왕성을 중심으로 500리 이내의 땅을 뜻하였으며, 서울을 에워싼 문지방이라는 뜻이다. 1018년(현종 9) 정주ㆍ송림ㆍ임진ㆍ토산ㆍ임강ㆍ적성ㆍ파평ㆍ마전 등 여러 고을을 상서도성(

  • 경기좌도 / 京畿左道 [지리/인문지리]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경기도를 분할하여 설치하였던 행정구역. ‘기(畿)’는 중국의 주나라에서 왕성을 중심으로 500리 이내의 땅을 뜻하였으며, 서울을 에워싼 문지방이라는 뜻이다. 1018년(현종 9)정주ㆍ송림ㆍ임진ㆍ토산ㆍ임강ㆍ적성ㆍ파평ㆍ마전 등 여러 고을을 상서도성(尙

  • 경상 / 經床 [예술·체육/공예]

    경전이나 책을 얹어놓고 읽는 데 쓰였던 책상. 중국 당나라·송나라 시대의 제탁(祭卓)양식에서 영향을 받아 독특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즉, 상판(床板)의 양쪽은 두루마리형으로 말려 있고 호족형(虎足形) 네 다리는 아름다운 운당초(雲唐草)나 죽절형(竹節形)의 조각장식이

  • 경상도 / 慶尙道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이름. ‘경상’이라는 지명은 고려 때 이 지방의 대표적 고을인 경주와 상주 두 고을의 머리 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이다. 995년(성종 14) 전국을 10도로 나눌 때 상주 관할을 영남도(嶺南道), 경주·김주(金州 : 지금의 김해

  • 경선사정우2년명금고 / 景禪寺貞祐二年銘金鼓 [예술·체육/공예]

    고려시대의 금고. 지름 41㎝, 측면너비 11.5㎝. 개인 소장. 표면 모양은 다른 일반적인 금고의 양상과 같으나, 그 형태는 다른 일반적인 금고와 달리 양면이 모두 막혀서 북모양을 하고 아래 측면에 구멍이 뚫려 있는 특이한 것으로, 양면의 표면 장식무늬는 같다.쌍사(

  • 경암문집 / 敬庵文集 [종교·철학/유학]

    고려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문신 허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7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2책. 목활자본. 정조 때 그의 후손인 묵(默)의 편집을 거쳐, 1907년 후손 용두(容斗)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학진(金鶴鎭)·이미(李瀰)의 서문과 권말에 그의 후손인 용

  • 경주 불국사 사리탑 / 慶州佛國寺舍利塔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석조 불탑.부도. 보물. 보물 제61호. 높이 2.06m. 비로전 왼쪽의 보호각 안에 있는데, 지금의 자리가 원래의 위치는 아니다. 전체적으로 장식이 아름답고 단아하여 1905년에 일본으로 운반되어 나갔다가 1933년에

  • 경주남고루 / 慶州南古壘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에 축조된 성곽.사적. 흙으로 쌓은 성벽으로, 원형은 신라 제13대 미추왕릉(味鄒王陵)과 천마총(天馬塚)·황남대총(皇南大塚) 등이 자리하고 있는 대릉원(大陵園)의 남쪽 입구부터 동쪽으로 황오동고분군(皇吾洞古墳群)까지 뻗었으며, 다시 북쪽

  • 계백료서 / 誡百寮書 [역사/고려시대사]

    936년 고려 태조가 백관을 훈계하기 위하여 저술하여 반포한 교훈서. 8편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이 책이 『정계(政誡)』 1권과 함께 찬술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단지 백관들에게 예

  • 고금록 / 古今錄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전기 문신 박인량이 편찬한 역사서. 10권. 편찬 직후 비서성(祕書省)에 보관하였다 하나 현전하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5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