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 정치 총 19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 정치
김약수 / 金若水 [정치·법제/정치]
1892년(고종 29)∼미상. 노동운동가·정치가. 서울의 휘문의숙과 경성공업학교를 졸업, 3·1운동의 소식이 중국에 전해지자 김원봉과 헤어져 이여성과 함께 귀국하였다. 1923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국내에 잠입한 정재달과 접촉하여 구금, 1924년 4월에는 김사국·
김영삼 / 金永三 [정치·법제/정치]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 정치가. 경남 거제 출신. 1952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졸업, 장택상 총리 인사담당 비서가 되었다. 1954년 26세의 최연소자로 제3대 민의원에 당선된 후, 제5, 6, 7, 8, 9, 10, 13대
김영한 / 金榮漢 [정치·법제/정치]
1857년(철종 8) 6월 14일∼1927년 8월 19일. 일제 강점기 관료. 조선 말기 의금부도사와 탁지부주사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여 대한제국기에 법부참서관·중추원의관·탁지부 인쇄국장 등을 지냈다. 1921년부터 1927년까지 조선총독부의 중추원참의를 지냈다. 1924
김옥균 / 金玉均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정치가·개화운동가(1851∼1894). 갑신정변을 주도하였다. 갑신정변에 투영된 김옥균의 사상 속에는 문벌의 폐지, 인민평등 등 근대사상을 기초로 하여 낡은 왕정사 그 자체에 어떤 궁극적 해답을 주려는 혁명적 의도가 들어 있었다. 저서로는《기화근사》·《
김원봉 / 金元鳳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98∼?). 3·1운동 소식이 전해지자 그는 폭탄제조법을 습득하는 등 일제와의 무장투쟁노선을 분명히 하여 6년여에 걸쳐 의열단 단장으로 대규모암살계획 및 경찰서·동양척식주식회사 등에 대한 폭탄투척사건 등을 배후에서 지휘 조종하였고, 1
김윤식 / 金允植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관료·문장가(1835∼1922). 유신환·박규수의 문인으로, 임오군란 후 호군·강화부유수에 임명되어 규장각직제학을 겸임하였고, 갑신정변 이후 병조판서를 거쳐 독판교섭통상사무가 되어 대외관계를 담당하였으나, 아관파천사건 이후 외무대신 직에서 면직되었고, 을미사
김일성 / 金日成 [정치·법제/정치]
1912년 4월 15일∼1994년. 현대 정치가. 부친 김형직과 모친 강반석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5년 10월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조직 책임비서로 선출, 1946년 2월에 창설된 북조선인민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46년 북조선노동당의 당명아래
김재규 / 金載圭 [정치·법제/정치]
1926년∼1980년. 군인·정치가·행정관료.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에 입교하여 1946년 12월 제2기생으로 졸업. 1954년 제5사단 제36연대장, 1957년 육군대학부총장, 1963년 제6사단장, 1966년 제6관구 사령관, 1968년 육군보안사령관, 1971년 제
김정일 / 金正日 [정치·법제/정치]
1942~ 2011. 북한의 정치가. 김일성과 김정숙의 장남으로 태어나 해방 후 북한에 들어와 평안남산고급중학, 만경대 혁명학원, 김일성 종합대학 정치경제학부에서 수학했다. 1964년 대학졸업과 동시에 당중앙위원회에 배치, 1973년 9월 당중앙위 비서, 1974년
김종필 / 金鍾泌 [정치·법제/정치]
1926-2018 군인. 정치가. 충남 부여. 서울대 사대수학과 2년 수료 후 입대, 육사 8기생으로 입학하고 졸업 후 육군본부 정보국 전투정보과에 근무했다. 5.16군사쿠데타 당시 육군 중령으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초대 중앙정보부장을 지냈으며, 제3공화국 성립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