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 조선시대사 총 50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조선시대사
갑을록 / 甲乙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노론·소론의 분립에 관련된 50여 명의 서간·상소·차자 등을 수록한 정치서. 5권 5책. 필사본. 정확한 편찬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취급된 자료의 하한은 1722년(경종 2)이다. 편찬자 또한 불명이나, 내용상으로 소론의 거두 윤증(尹拯)의 후손이 모은 것
갑진만필 / 甲辰漫筆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문신 윤국형이 임진왜란 전후의 시사에 관하여 견문한 내용을 기록한 실기. 1권 1책. 필사본. 선조 초(1573∼1582)의 시사(時事)에 관한 견문들을 수필체로 기술한 『문소만록(聞韶漫錄)』의 추록으로서 임진왜란 전후 약 20년간에 일어난 시사에 관한 견문,
강계고 / 疆界考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신경준이 상고에서 조선에 이르기까지 각국의 수도와 강계를 역사지리적 입장에서 서술한 지리서.역사지리서. 3권 3책. 수필고본(手筆稿本). 첫 권에는 서문과 조선의 다른 이름에 대한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 각국별 국도(國都)와 강계(疆界)를 역
강관론 / 講官論 [역사/조선시대사]
1836년(헌종 2) 최한기(崔漢綺)가 사전(史傳)의 경연제설(經筵諸說) 중에서 군주와 신하가 할 일을 뽑아서 만든 책. 4권 1책. 목활자본. 내용의 순서는 서(序)·제왕학(帝王學)·강관·강의·강규(講規)·대명경연의(大明經筵儀)·경연반차도(經筵班次圖) 및 발문으로 되
강도일기 / 江都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어한명이 병자호란 당시에 작성한 일기. 1책. 필사본.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봉림대군(鳳林大君)과 인평대군(麟平大君) 등은 강화로 피란하였는데, 이때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이었던 필자가 갑곶진(甲串津)에서 강화까지 궁실을 보호하
강도충렬록 / 江都忠烈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창협이 충렬사에 관한 기록을 모아 1701년에 편찬한 전기. 2권 1책. 인본(印本). 1701년(숙종 27)에 간행되었으며, 원래 표제는 ‘충렬록(忠烈錄)’으로만 쓰여 있다.강화도 충렬사는 병자호란 당시 성이 함락되면서 순절하였던 우의정 김상용(
강동전말 / 江東顚末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강동현감 서만수와 관찰사 이조원 두 사람 사이에 벌어진 진소 변명의 시말을 적은 실기. 1책. 필사본. 편자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내용상으로 이조원의 후손에 의해 편집된 것으로 보인다.서두에 결산전의 내역과 행관(行關)주 03)이 소개되고, 서만수의 상소, 이
강목초 / 綱目抄 [역사/조선시대사]
송나라 주희의 『자치통감강목』에서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저술한 역사서. 75권 8책. 필사본. 서기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사실을 담고 있다.이 책의 저본이 되는 『자치통감강목』은 사마 광(司馬光)의 『자치통감』을 성리학적 가치관에 의하여 다시 편성
강무 / 講武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왕의 친림 하에 실시하는 군사 훈련. 조선 초기에 많이 시행되었으며 엄격한 의식 절차가 정해져 있었다. 1396년(태조 5) 의흥삼군부의 건의에 따라 의식 규례가 마련되었다. 그 뒤 ≪국조오례의≫에 자세한 의례 절차가 정비되었다.
강북일기 / 江北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압록강 일대의 호인 및 우리나라 사람들의 취락 상태를조사하여 기록한 역사서. 1책. 필사본. 조선 고종 때 최종범(崔宗範)·김태흥(金泰興)·임석근(林碩根) 등 3인이 관령을 받고 편찬하였다.간행연대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호인들의 대규모 삼밭[蔘圃]이 모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