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최정호 / 崔挺豪 [종교·철학/유학]

    1563년(명종 18)∼미상. 증조부는 최홍, 조부는 최대관, 부친은 최수도, 처부는 김복일이다. 1603년(선조 36) 계묘 식년시 병과 19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23년(광해 1)에 사간원정언에 제수되었는데, 사관은 어리석고 용렬하다고 평하였다. 이후 정인홍에

  • 최종기 / 崔宗箕 [종교·철학/천도교]

    1883-1953년. 일제강점기 천도교인·독립운동가. 호는 표암(杓菴)이다.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운암면(雲岩面) 지천리(芝川里) 출신이다. 조부는 지포(芝圃) 최봉성(崔鳳成)이며, 부친은 복암(復庵) 최승우(崔承雨)이다. 평생을 종교운동과 구국운동에 종사하였다.

  • 최종준 / 崔宗駿 [종교·철학/천도교]

    1870-1937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천도교인. 본적은 함경남도 이원(利原)이다. 천도교 신자로 함경남도 이원교구장(利原敎區長)을 지냈다. 1919년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고 공시우(孔時祐)·박승룡(朴承龍)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 최진립 / 崔震立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무신. 득정 증손, 할아버지는 삼빙, 아버지는 신보, 어머니는 황사종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동생 계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가덕참사, 경흥부사, 공조참판,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하였다. 저

  • 최창걸 / 崔昌傑 [종교·철학/유학]

    1707년(숙종 33)∼1781년(정조 5). 조부는 최후징, 아버지는 최석태, 외조부는 윤동형, 아들 최수침과 최수노가 있으며, 외손으로 성원묵이 있다. 어려서부터 옛 성현들의 학문에 전념했다. 관찰사가 천거하여 1753(영조 29)에 참봉에 제수되어 양지현감에 이

  • 최창대 / 崔昌大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명길 증손, 석정 아들, 어머니는 이경억의 딸이다. 16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검열·설서·부수찬을 거쳐 1698년 암행어사가 되었다. 이어 교리·이조좌랑·헌납·응교를 거쳐 1704년 사

  • 최초법어 / 最初法語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교조 소태산(少太山)이 1916년 5월에 9인의 제자에게 설한 최초의 법문. 법문의 내용은 당시의 사회를 관찰하여 개인과 세상이 병들어 있음을 지적하고, 그 구제방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 최충 / 崔沖 [종교·철학/유학]

    984-1068. 고려시대의 유학자. 1005년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문종 초에 문하시중으로 있으면서 고려형법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1055년 9재학당이라는 최초의 사학을 창립하여 구경과 삼사를 가르쳤다. 고려 유학을 흥성시켰으며 해동공자라고 불리웠다

  • 최충성 / 崔忠成 [종교·철학/유학]

    1458(세조 4)∼1491(성종 22). 조선 전기의 학자. 최덕지의 후손, 아버지는 별이다. 김굉필의 문인이 되어『소학』을 배웠으며 뒤에 정여창의 제자가 되었다.『소학』을 실천수행의 근본으로 삼았다. 김안국·남효온과는 동문 사이였다. 영암의 녹동서원에 배향되었으며,

  • 최치운 / 崔致雲 [종교·철학/유학]

    1390(공양왕 2)∼1440(세종 22).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원량, 아버지는 안린, 어머니는 전인구의 딸이다. 1417년 식년문과에 동진사로 급제, 공조참의, 이조참의, 좌승지,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왕명으로『무원록』을 주석, 율문을 강해하는 등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