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권문해 초간일기 / 權文海草澗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전기 문신 권문해가 1580년부터 1591년까지 일상적인 일에서 국정의 대요(大要) 등 주변에서 일어난 일을 기록한 일기. 보물 제879호. 『초간일기(草澗日記)』는 권문해(權文海, 1534~1591)가 1580년(선조 13)에서 1591년(선조 24)까지 11년간

  • 권번 / 券番 [예술·체육/국악]

    일제강점기 시기의 기생조합. 조선시대까지 존재했던 관기제도가 일제강점기에 없어졌는데, 이 시기 기생들이 만든 조합이 권번이다. 권번은 주식회사 제도로 운영되었는데, 주된 기능은 모든 교육과정을 수료한 기생들이 요정에 나가는 것을 지휘하고 감독하였다. 권번을 통해서 식민

  • 권벌 / 權橃 [종교·철학/유학]

    1478년(성종 9)∼1548년(명종 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부호조 권곤, 아버지는 성균생원 증영의정 권사빈, 어머니는 주부 윤당의 딸이다. 1496년(연산군 2)생원시에 합격하고, 1507년(중종 2) 문과에 급제하였다. 대표관직으로는 의정부좌참찬

  • 권벌 종가 고문서 / 權橃宗家古文書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학자 권벌의 종손가에 소장된 문서.종가문서. 권벌의 종손가에는 600여 년간 전래된 문서가 20여 종, 수 천 점이 소장되어 있는데, 그 중 15종 274점만 선별하여 보물 제901호로 지정하였다. 이 중, 『영락갑오친시문과방』은 현재 발견된 방목으로는

  • 권벌 종가 유묵 / 權橃宗家遺墨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학자 권벌의 종손가(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에 소장된 유학서.종가유물. 이 유묵들은 보물 제902호로 지정된 8종 14점이다. ① 김구진묵(金絿眞墨): 지본족자. ② 허목청암정편액제자(許穆靑巖亭扁額題字): 지본권자. ③ 장필진묵(張弼眞墨): 세 폭

  • 권벌 종가 전적 / 權橃宗家典籍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학자 권벌의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종가유물. 보물 제896호. 이 전적들은 간본 12종 181책, 필사본 3권 3책, 합 15종 184책이며, 경상북도 봉화군의 충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권벌의 종손가 소장 전적으로는 그의 자필 일기인 『충재일기』 6

  • 권벌 충재일기 / 權橃沖齋日記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권벌이 예문관검열과 도승지 등을 지내면서 겪었던 일들을 중심으로 작성한 일기. 보물 제261호. 5책. 권벌은 1507년(중종 2)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도승지 등을 지내다가 기묘사화에 연루, 파직되었으며, 뒤에 다시 소환되어 우찬

  • 권법 / 拳法 [예술·체육/체육]

    단련한 맨손과 주먹을 써서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방어하는 신체운동. 서양에서는 복싱(boxing)으로 성립되고, 동양에서는 권법으로 발전했다고 한다. 권법기술은 일부의 국한된 사람들끼리 연구, 연마하여 비기(祕技)로 전해졌기 때문에 그 기원이나 연혁이 기록으로 남아 있지

  • 권병덕 / 權秉悳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천도교인(1867-1944). 호는 청암(淸菴)·정암(貞菴)·우운(又雲). 동학교도가 되어 1894년(고종 31)에 손병희와 함께 동학농민운동을 주도했다. 1908년(융희 2)에 천도교에 입교했다. 3·1운동에 민족대표 33인으로 참여했다. 196

  • 권병원 / 權柄遠 [종교·철학/유학]

    1862(철종 13)~1935. 아버지는 권유환, 어머니는 선성김씨이다. 저자는 종형인 금서 권주환에게 수학하였고,주경야독하며 독실하게 공부하여 종족과 부노에게 기대를 받았다. 1894년 갑오개혁이 일어나자 세상사에 관심을 두지 않고 시를 지으며 지냈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