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족보 / 族譜 [사회/가족]
한 종족의 계보. 부계를 중심으로 혈연관계를 기록한 책이다. 조상에 대한 존숭, 종족의 단결, 후손간의 화목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최초 족보는 1476년에 간행된 <성화보>로서 안동권씨의 족보이다. <연려실기술>에 의하면, 1562년 <문화류보>가
존재가첩 / 存齋歌帖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학자 위백규와 위세보의 시조 「농가」와 가사 「자회가」·「금당별곡」 등을 수록한 가집.첩·가곡류. 위백규의 「농가」 9장은 농부화의 추세 속에 놓인 향촌사족층인 서생(書生)이 자영농(自營農)의 자리로 이전해가는 단계를 전형적으로 반영한 작품으로 평가되며, 위백
졸고천백 / 拙藁千百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신 최해의 서(序)·기·후제·행장 등을 수록한 문집. 『졸고천백』에는 45편의 산문이 시대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권1은 서(序) 6편, 기(記) 4편, 후제(後題) 2편, 발 1편, 묘지 3편, 묘지명 4편, 문책(問策) 1편, 권2는 서 5편, 묘지 9편,
졸수재집 / 拙守齋集 [언론·출판]
조성기(1638-1689), 목판본. 12권 6책. 선장본. 책의 구성은 12권 6책 이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맨 앞에 총목이 있으며, 1책은 권별로 각 권의 앞에 목록이 있고, 2~6책은 책 별로 각 책의 맨 앞에 두권씩의 목록이 함께 실려 있다. 권1~11이 본
졸와집 / 拙窩集 [종교·철학/유학]
정광묵의 문집. 석인본, 서: 권상규(1944), 발: 김철희, 정승모(1959), 정진한(1959), 2권 1책. 권1에는 시가 17제 25수, 소 1편, 서 6편, 잡저에 사단칠정설 1편, 책문에 문독서 1편이 수록되어 있고, 권2에는 만사 15인, 제문 18인,
졸재집 / 拙齋集 [종교·철학/유학]
채소권의 문집. 석판본, 발: 채석진(1938)‧채묵진(1938), 2권 1책. 권1은 부 4편, 시 139제 211수가 있고, 권2는 시 21제 23수, 만 11제 12수, 사 2편, 계 3편, 소 3편, 제문 1편, 서 1편, 잠 2편, 명 3편, 갈명 4편, 묘지
종교교육 / 宗敎敎育 [언론·출판/언론·방송]
조선 주일학교연합회가 1925년부터 월간으로 간행해온 주일학교잡지가 폐간되어, 1930년 1월 1일에 변경 창간하여 1-3단으로 내리 편집하여 월간으로 발행한 잡지. 당시 교계 및 국내 명사들이 필진으로 참여했으며, 사설, 논문, 문예, 잡문, 교육, 축사 등으로 구
종교시보 / 宗敎詩報 [언론·출판/언론·방송]
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가 1932년 12월 8일에 크리스마스 순서 특별호로 창간하여 국한문 2-3단으로 내리 편집하여 매월 발행한 월간지. 내용으로는 보고, 성탄특집, 기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남총지 / 終南叢志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김득신이 어무적에서부터 남용익에 이르는 주요 인물들의 시를 평가한 시화집. 1책. 필사본. 홍만종(洪萬宗)의 『시화총림(詩話叢林)』 제4책과 임렴(任廉)이 편찬한 『양파담원(暘葩談苑)』 제4책에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
종덕신편언해 / 種德新編諺解 [언어/언어/문자]
김육(金堉)이 편저한 『종덕신편』을 한글로 번역한 책. 『종덕신편』은 소학을 읽고 덕을 함양시키기 위하여 그 요령을 경전 중에서 뽑아 펴낸 책으로 그 간기가 없기 때문에 언제 간행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김육 생존시에는 전혀 간행된 일이 없는 듯하다. 비록, 김육의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