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무예제보번역속집 / 武藝諸譜飜譯續集 [언어/언어/문자]

    임진왜란 직후 최기남(崔起南)이 편찬한 군사 병법서. 보물 제1321호. 임진왜란 직후 조정에서는 군사병법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교(韓嶠)가 선조(宣祖)의 명을 받고 1598년에 『무예제보』를 편찬한 바 있는데, 훈련도감의 도청(都廳)인 최기남이 이 책에서 빠진 것을

  • 무오사화 / 戊午史禍 [정치·법제/정치]

    1498년(연산군 4) 김일손 등 신진사류가 유자광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 조선시대에 일어난 사대사화 중 첫번째로 일어났던 사화이며, 사초문제로 발단되었기에 무오사화라고 한다.

  • 무오연행록 / 戊午燕行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서유문(徐有聞)이 지은 연행록. 한글필사본. 권1은 무오년 8월 9일부터 서장관에 임명된 뒤의 준비 과정과 10월 19일 중국 황제의 표문(表文)을 받고 길을 떠나 12월 6일 쌍양점(雙陽店)에 이르기까지 약 3개월간의 일기이다. 권2는 12월 7일 쌍양

  • 무이도 / 武夷圖 [언론·출판]

    저자 이제안(1791-?). 필사본. 격자문양의 능화판 표지에 '무이도'라고 묵서한 체첨을 붙였다. 도첩은 전체 22면으로 장첩되어 있다. 전체 구성은 표지, 제1.2면에 주희의 <무이도서>, <무이정사잡영병서>, 제3면부터 제20면에 걸쳐 무이구곡도를 그렸으며, 맨

  • 무이서당 / 武夷書堂 [교육/교육]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무이리에 있는 서당.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31호. 1656년에 창건되었으며 창암(滄菴)이윤수(李潤壽)를 배향하고 있다. 입교실(立敎室)과 시습실(時習室)을 마련하여 각각 장로(長老)들이 연식할 수 있는 공간과 후생(後生)들이 공부할 수 있는

  • 무이서원 / 武夷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에 있던 서원. 1788년(정조 12) 지방유림의 공의로 주자(朱子)·설공검(薛公儉)·설인검(薛仁儉)·조원길(趙元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 무장향교 / 茂長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교흥리에 있는 향교. 1420년(세종 2)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0년에 중건하였으며, 1840년(헌종 6) 화재로 명륜당이 소실되어 그

  • 무주부읍지 / 茂朱府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도 무주부(현 무주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조선 정조 연간(추정)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영조 연간에 편찬된 『무주부읍지』와 『호남읍지』에 수록된 무주부읍지 2종, 1898년에 편찬된 『적성지(赤城誌)』

  • 무주일고 / 無住逸稿 [종교·철학/유학]

    홍호의 문집. 목판본, 6권2책. 서문과 발문,목차 등이 없어 간행년을 알 수없으나,효종·현종 연간에 아들 여하가 편집 간행한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판심제는 무주일고이나,책표지는 무주집 건·곤이며, 권지일로 시작되는 첫 장은 무주선생일고로 되어 있다.책의 순서는 건·곤

  • 무주향교 / 茂朱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처음은 현의 동쪽에 건립하였다가 그 뒤 북쪽으로 옮겼는데, 이건한 뒤 호랑이의 침해가 심하여 1692년(숙종 18) 부사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