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신전자초방언해 / 新傳煮硝方諺解 [언론·출판/출판]

    《신전자초방》을 언해한 과학기술서. 조선 숙종 때 역관 김지남이 지은 과학기술서인《신전자초방》을 1698년(숙종 24)에 영중추부사 남구만의 건의로 간행하였다. 그러나 현존하지 않고, 1796년(정조 20)에 염초 만드는 방법을 쓴 중국 책을 한글로 해석하여 중간본으

  • 신전자취염초방언해 / 新前煮取焰硝方諺解 [언어/언어/문자]

    1635년(인조 13)에 이서(李曙)가 화약의 원료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 언해본. 『신전자취염소방언해』의 앞에 보이는 시말(始末)과 『신전자취방언해』의 끝에 보이는 득초시말법(得硝法始末)에 이 문헌을 간행하게 된 동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의 내용은 이서(李曙)는

  • 신정모 / 申正模 [종교·철학/유학]

    1691(숙종 17)∼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채의 증손, 할아버지는 대석, 아버지는 덕일, 어머니는 이성구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20년에 부정자, 1725년(영조 1)에 지평·정언·사옹원주부 등에 임명,

  • 신정사서보주비지 / 新訂四書補註備旨 [종교·철학/유학]

    사서류(四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4.6×15.2cm, 반곽은 20.9×13.1cm이다. 판심제는 사서보주비지(四書補註備旨)이다. 청(淸)나라의 등림(鄧林)이 찬(撰)한 것이다. 권수는 2권 1책이다.

  • 신정왕후 / 神貞王后 [역사/조선시대사]

    1808년(순조 8)∼1890년(고종 27). 익종의 비. 헌종의 어머니이다. 아버지는 만영, 어머니는 송시연의 딸이다. 12세 때 익종비로 책봉되어 세자빈이 되었고 효부라는 칭찬을 들었다. 1827년(순조 27) 헌종을 낳았다. 1834년 헌종이 왕위에 오르고 죽

  • 신정하 / 申靖夏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준 증손, 할아버지는 여정, 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조원기의 딸이다. 유에게 입양되었다. 김창협의 문인이다. 1705년(숙종 3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부교리, 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 신좌모 / 申佐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9∼1877). 원릉별검·성균관전적·병조정랑·종부시정 등을 역임하였고, 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실록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은퇴한 뒤에는 향리에 화수헌을 짓고 종친과 후진들을 교육,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다.

  • 신준 / 申埈 [종교·철학/유학]

    1572년(선조 5)~1638년(인조 16). 조선 중기 문신. 조부는 신립, 부친은 신경진이다. 인조반정 때 백의종군하여 공적을 세웠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서 1623년(인조 1)에 구인기‧노수원‧박유명‧송영망‧신경식‧한여복‧홍효손 등과 함께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었

  • 신증승평지 / 新增昇平誌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이수광(李晬光) 찬, 홍중징(洪重徵) 증보, 목판본, 1729년(영조 5), 1책(영본 전2권 2책). 표제와 판심제는 승평지(昇平誌)이다. 1618년(광해군 10) 전 순천부사 이수광이 찬한《승평지》를 1729년(영조 5)에 부사 홍중

  • 신집 / 申楫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39(인조 17).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종위의 증손, 할아버지는 연, 아버지는 경남이다. 정경세의 문인이다. 1606년(선조 39)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문한직인 전적을 지냈다. 광해군이 즉위한 뒤 대북정권이 패륜행위를 거듭하자 벼슬을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