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신유복전 / 申遺腹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이 작품은 고전소설 「낙성비룡(洛(落)城飛龍)」과 비슷한 내용이다. 무대가 중국 명나라에서 우리나라 조선시대로 바뀌었다는 점에서 「낙성비룡」의 개작본으로 추측된다. 아내가 남편을 출세시키는 내용은 고전소설에서 찾아볼

  • 신유한 / 申維翰 [종교·철학/유학]

    1681(숙종 7)∼? 조선 후기의 문신·문장가. 증조가 구년, 아버지는 태래, 어머니는 김석현의 딸이다. 태시에게 입양되었다. 1705년(숙종 31) 진사시에 합격하고, 17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9년 제술관으로서 통신사 홍치중을 따라 일본에 다

  • 신유한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신유한에 관한 설화. 미천한 처지에서 태어났으면서 시로 널리 이름을 떨쳤다는 것을 기본내용으로 삼아 흥미로운 삽화를 연속시켰다. 문헌에는 오르지 않고, 구전을 통해서 사실과는 다른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구전에 의하면 신유한은 서자이고 홍길동(洪吉童)

  • 신응조 / 申應朝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4∼1899). 홍직필의 문인이다. 1852년 문과에 급제해 이조참판·대사헌·강원도관찰사·형조판서·이조판서·예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서양세력을 배척하고 수교 및 통상을 제한하려는 척사론을 정책적 측면에서 주장했다. 연로하여 퇴임한 뒤에는 기로소에

  • 신의명 / 申義命 [종교·철학/유학]

    1654년(효종 5)∼1716년(숙종 42). 조선 후기 유학자·문신. 부친 신양세와 모친 김직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684년(숙종 10) 문과에 급제, 가주서·전적·예조좌랑·직강·강령현감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김간·이동표·권두경 등의 문인들과는 도의로써 교유

  • 신익륭 / 申翊隆 [종교·철학/유학]

    ?∼1657(효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영 증손, 아버지는 감, 어머니는 조인후의 딸이다. 김상헌의 문인이다. 송준길·유계·윤문거·윤순거 등과 교유하였다. 익위사세마, 시직을 역임하였다.벼슬을 버리고 호남지방을 유랑한 지 30년만에 회덕에서 죽었다.

  • 신임 / 申銋 [종교·철학/유학]

    1639(인조 17)∼1725(영조 1). 조선 후기의 문신. 민일 증손, 할아버지는 상, 아버지는 명규이다. 어머니는 남호학의 딸이다. 박세채의 문인이다. 1686년 별시문과에 응시하여 병과로 급제하였다. 호조좌랑, 경기도도사, 황해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 신재응 / 申在應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신흘 6세손, 조부는 신엽, 부친은 신광집이다. 생품이 총혜하여 5살에 학문을 수업하고, 10살에 종조가 되는 신재 신위에게 수학할 때 매일 수백 행을 기억하였고, 장성해서는 과재 김정묵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육적의 이수에 찬연하였다.

  • 신재집 / 新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홍낙명의 시문집. 불분권 7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모두 없어 편집 경위와 필사 연도를 알 수 없다. 제1책은 부 4편, 시 66수, 소차 3편, 제2책은 서 53편, 제3책은 서 13편, 기 21편, 제4책은 잡저 40편, 제5책은 잡저로 논 1

  • 신재집 / 新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도중의 시문집. 32권 13책. 필사본. 저자가 편집하였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권1·2에 시집소서, 시 304수, 부 1편, 금조 1편, 권3·4에 문집자서, 서 84편, 권5에 서 48편, 권6에 기 15편, 제발 19편, 찬 8편, 명 6편,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