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총계집 / 叢桂集 [종교·철학/유학]
조동좌의 문집. 목활자본, 서: 권상익(1933), 발: 조승연, 6권 3책. 권두에는 1933년 권상익이 쓴 서문과 간단한 목록이 있고, 권말에는 족증손 조승연이 쓴 발문이 있다 권1~2에는 시 414제 493수가 실려 있어, 문집에서 시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권
최강 / 崔堈 [종교·철학/유학]
1559∼1614.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운철이다. 1585년(선조 18) 무과에 급제,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균과 함께 고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김시민과 합세하여 진주성싸움에서 공을 세웠고, 1593년 김해로부터 웅천에 침입하려는 적을 격퇴하였으며
최경회 / 崔慶會 [종교·철학/유학]
1532(중종 27)∼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의병장. 충 후손, 혼 증손, 할아버지는 윤범, 아버지는 천부이다. 경장의 형이다. 양응정·기대승에게 수학하였으며,1567년(선조 즉위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영해군수, 경상우병사 등을 역임하였다. 화
최계 / 崔誡 [종교·철학/유학]
1567(명종 22)∼1622(광해군 14).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종옥이다. 1591년(선조 24) 무과에 급제하여 만경현령을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대구에서 의병을 규합하여 전공을 세웠다. 광해군 때에는 대북파의 전횡이 심하여지자 벼슬을 버리
최광벽 / 崔光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8∼1791). 세자시강원 설서가 되어 왕세자를 가르쳤다. 나경언이 왕세자의 비행을 상소하여, 영조가 왕세자를 죽게 한 사건이 일어나자 최광벽은 관직을 떠나 향리로 돌아갔다. 복직되었다가 이후 향리로 돌아가 후학을 양성했다.
최규서 / 崔奎瑞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경창 현손, 집 증손, 할아버지는 진해, 아버지는 석영이다. 1680년(숙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출사하였다. 이 때 서인의 나문에서 뛰어난 재주로 시명을 얻어 언관이 되었다.대제학, 우의정, 영
최균 / 崔均 [종교·철학/유학]
1537-1616. 조선 중기의 의병장. 아버지는 운철이다. 어버이에 대한 효성과 형제간의 우애가 깊었다.『주역』에 통달하였고, 특히 천문에 밝았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동생 강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스스로를 풍운장이라고 불렀다. 고성·사천 등지에 진격
최기남 / 崔起南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문신. 명손 증손, 할아버지는 업, 아버지는 수준, 어머니는 남상질의 딸이다. 성혼의 문인이다. 1602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병조좌랑·예조·병조의 정랑과 세자시강원시강·영흥대도호부사를 역임
최남두 / 崔南斗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0∼1777). 병계 윤봉구를 뵌 후로는 수시로 찾아가 학문을 문의했으며 편지를 통해서도 경서와 상례 등에 관해 문의했다. 57세 때 학행으로 관찰사에게 천거되었다. 권진응·이의조 등과 도의지교를 맺었다. 시문집으로《모려선생문집》이 있다.
최남중 / 崔南重 [종교·철학/유학]
1674∼1740(현종 15∼영조 40). 조선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성기, 어머니는 서일회의 딸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운 최계종의 고손이다. 삼남 중 막내로, 어려서 주자의 백록동규, 회재 이언적의 위육설, 퇴계 이황의 인설을 학문의 요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