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조선어문정체 / 朝鮮語文正體 [언어/언어/문자]
권영달(權寧達)의 이론적 문법서. 1941년 경성 덕흥서림(德興書林)에서 발행하였다. 음운·형태·품사·부록의 4부로 구성되었다. 내용은 우선 모음을 양음(量音), 자음을 질음(質音)이라 하고, 음운변화를 착출(搾出)·설편(舌便)·순편(脣便) 등의 원리로 특이하게 국어의
조선어발음및문법 / 朝鮮語發音─文法 [언어/언어/문자]
1926년 이완응(李完應)이 국어의 발음과 문법에 대해 국어와 일본어를 대조해 가면서 일본문으로 해설한 책. 조선어강의록으로 연재했던 것을 모아 낸 것이다. 이 책은 크게 발음(41면)과 문법(179면)의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언문발음의 실제에 대하여”에서는 중성·
조선어법급회화서 / 朝鮮語法及會話書 [언어/언어/문자]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 학습서. 내용은 권두 ‘예언’, 목차, 본문 제1편, 제2편,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본문의 제1편 ‘어법(語法)’은 조선어의 문법을 설명한 것으로 제1장 언문, 제2∼제8장은 품사, 제9장은 ‘고자급음편(高字及音
조선어사전 / 朝鮮語辭典 [언어/언어/문자]
문세영(文世榮)이 펴낸 국어사전. 1938년 조선어사전간행회(朝鮮語辭典刊行會)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지은이말슴’ 3면, ‘일러두기’ 5면, 본문 1,634면, 권말에 ‘한문글자 음찾기’ 26면, ‘이두(吏讀) 찾기’ 22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은 4단으로 세
조선어소사전 / 朝鮮語小辭典 [언어/언어/문자]
1956년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과학원 조선어 및 조선문학연구소에서 펴낸 북한 최초의 뜻풀이 사전. 『조선어소사전』의 총 수록 어휘는 4만 1927단어이며 이 중 파생어가 8120단어라고 사전 말미에 밝히고 있다. 조선어 철자법(1954)과 조선어 외래어 표기법(1
조선어신철자법 / 朝鮮語新綴字法 [언어/언어/문자]
1948년에 조선어문연구회에서 제정한 북한 최초의 맞춤법. 『조선어 신철자법』은 북한 최초의 철자법으로, 총론 5항과 각론 64항, 본문 54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한은 광복 이후 그동안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개정안)』(1946)을 해설한 길용진의 『한글맞춤
조선어연구 [언어/언어/문자]
1949년 3월에 북한 조선어문연구회에서 창간한 월간 학술 종합 잡지. 『조선어 연구』는 북한의 조선어문연구회에서 1949년 3월 1일부터 발간한 월간 학술 종합 잡지이다. 1949년에 8번, 1950년에 3번 해서 총 11번에 걸쳐서 발간된 이 잡지는 북한 해방 공간
조선어음운론연구 / 朝鮮語音韻論硏究 [언어/언어/문자]
이숭녕(李崇寧)이 지은 음운론에 관한 연구서. 1949년 을유문화사에서 간행하였다. 부제로 “제1집 ‘·’음고”가 있는 바와 같이 ‘·’음의 음가와 소실 시기 를 밝히고 ‘·’자가 모음문자로서 국어표기법(또는 정서법)에서 폐기된 경위를 밝힌 것이다. 이 책은 본래 19
조선어의선생 / 朝鮮語─先生 [언어/언어/문자]
일본인 학습용으로 출판된 최재익(崔在翊)의 우리말 학습서. 1918년에 동경 대판옥호서점(大阪屋號書店)에서 발행하였다. 10년 만인 1929년에 8판을 거듭할 만큼 널리 수요된 책이다. 내용은 한글과 그 발음, 구절과 그 문법적 설명, 간단한 회화대역(會話對譯), 문
조선어전초본 / 朝鮮語典抄本 [언어/언어/문자]
김두봉(金枓奉, 1889∼?)이 『조선어전』을 수정하여 묶은 문법서. 『조선어전』은 김두봉의 체계와 용어를 계승, 발전시키는 원칙을 지키면서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국어 문법을 보급할 목적으로 지어진 책인데, 『조선어전초본』은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조선어전』을 수정한 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