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신심 / 申鐔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대사성 민일 증손, 할아버지는 부사 상, 아버지는 명규, 어머니는 남호학의 딸이다. 1704년(숙종 30) 춘당대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사서·지평·정언을 거쳐 도당의 홍문록에 올랐으며 지제교로서 우윤 김

  • 신암서원 / 新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신음리에 있었던 서원. 1721년(경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관(安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9년(고종 6)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어 복원하지

  • 신야선생문집 / 新野先生文集 [언론·출판]

    저자 이인행(1758-1833). 목활자본. 책의 구성은 14권 7책이다. 영남의 목활자 문집 형태이다. 서문과 발문이 없으며, 바로 목록이 제시되어 있다. 권1의 시에서부터 권14 부록까지 문체별로 분류되어 있다. 작품 제목은 목록에 제시되지 않고 각 권으로 들어가

  • 신야집 / 新野集 [종교·철학/유학]

    이인행의 문집. 목판본. 14권 7책. 권1~2는 시를 수록, 권3에는 서연강의를 수록, 권3~4에 채제공, 류범휴, 류낙휴, 김희락, 김희주, 정약용 등과 주고받은 편지를 수록하였다. 권5는 잡저‧서, 권6은 기‧식‧발‧잠‧명‧상량문‧애사, 권7에는 축문‧제문,

  • 신여철 / 申汝哲 [역사/조선시대사]

    1634(인조 12)∼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경진, 아버지는 준. 현종 초기에 선전관을 지낸 뒤 무과에 급제하였다. 1669년(현종 10) 충청도수군절도사를 거쳐, 1671년 통제사, 이듬해 평안도병마절도사를 지내고, 1675년(숙종 1)

  • 신오위장본 / 申五衛將本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판소리 사설 작가·이론가 및 연출가를 겸했던 신재효(申在孝)의 가집(歌集). 6책. 필사본. 이 책에는 신재효가 개작한 판소리 사설, 곧 동창춘향가(童唱春香歌)·여창춘향가(女唱春香歌)·남창춘향가(男唱春香歌)로 된 「춘향가」, 「심청가(沈淸歌)」·「적벽가(

  • 신옹고 / 信翁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민창혁(閔昌爀)의 시문집. 8권 4책. 필사본. 권두에 이계(李堦)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권1∼5에 시 471수, 권6에 소(疏) 15편, 치제문(致祭文) 8편, 고유문 26편, 축문 4편, 표(表) 4편, 권7에 교문(敎文) 5편, 제문

  • 신우상 / 申禹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 1771년(영조 47)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1797년 사헌부집의로 재직하면서 과거시험의 엄정을 기할 것을 주장하여 채택되었다.

  • 신위 / 申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화가·서예가(1769∼1845). 1812년 중국에 가서 여러 학자들을 만나 견문을 넓혔다. 시·서·화 3절로 칭해졌다. 문학 작품으로 〈동인논시절구〉·〈소악부〉와 그림에 〈방대도〉·〈묵죽도〉 등이 있다. 저서로 《경수당전고》·《자하시집》이 있다.

  • 신유박해 / 辛酉迫害 [종교·철학/천주교]

    1801년에 일어난 천주교에 대한 박해. 약 100여 명의 천주교인들이 처형되었으며 약 400여명의 신자들이 유배되었는데 이때 천주교의 많은 지도급 인사들이 처형되거나 유배되었다. 권철신, 이가환, 이승훈, 정약용, 정약종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