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궁현장 / 弓弦匠 [과학기술/과학기술]
활시위를 만드는 장인. 현은 활시위이다. 궁현의 재료는 소나 말의 힘줄 및 생사 등이 쓰였는데, 특히 양계에서 쓰이는 궁현은 수령이 감조관이 되어 생사로써 만들었다. 소나 말의 힘줄로 궁현을 만들 경우는 보통 서너마리의 힘줄이 소요되었다.
권감 / 權瑊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우참찬 권성이다. 1710년(숙종 36)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그뒤 장릉참봉이 되었다. 남원현령,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권강 / 權江 [종교·철학/유학]
1567(명종 22)∼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금산훈도 권우신, 어머니는 일직손씨로 어모장군 붕의 딸이다. 이상정 문하에서 수학했다. 기질이 뛰어나고 학문에 능했다. 1589년(선조 22) 사마시에 합격한 뒤 관계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학문에
권건 / 權健 [종교·철학/유학]
1458(세조 4)∼1501(연산군 7).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부는 권근, 할아버지는 우찬성 권제, 아버지는 우의정 권남, 어머니는 이원의 딸이다. 중종의 열한번째 아들인 전성군 변의 장인이다. 1472년(성종 3) 진사가 되고, 147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
권격 / 權格 [종교·철학/유학]
1620(광해군 12)∼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권대성 증손, 할아버지는 찰방 권주, 아버지는 선산부사 권성원, 어머니는 강선여의 딸이다. 1650년(효종 1) 진사가 되었고, 다음해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병조정랑, 강릉부사를 역임하였다.
권경 / 權璟 [종교·철학/유학]
1604년(선조 37)∼1666년(현종 7). 조선 후기 학자. 부제학 권자홍 후손, 부친은 사복시정 권의협이다. 하담 김시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경사자집에 두루 해박하였으며 배운 바를 반드시 실천하였다. 학문과 행실이 모두 뛰어나 인근 유림의 추앙을 받았다. 벼
권경유 / 權景裕 [종교·철학/유학]
?∼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권집지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영화, 아버지는 판관 권질, 어머니는 우참찬 이승손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8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 홍문관정자, 제천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중종반정 후 도
권경희 / 權景禧 [종교·철학/유학]
1451(문종 1)∼1497(연산군 3). 조선 전기의 문신. 권집지 증손, 할아버지는 권영화, 아버지는 판관 권질, 어머니는 우참찬 이승손의 딸이다. 1478년(성종 9) 친시문과에 장원하여 이듬해 되었다. 이어 수찬·공조좌랑·호조정랑을 거쳐 1485년에는 경상도진휼
권공제반문 / 勸供諸般文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각종 재공과 시식법을 정리하여 1574년에 간행한 의례서.불교의례서. 2권 2책. 저자는 미상이며, 고려시대부터 불가에서 전해 내려오던 의식들을 모아서 편집하였다. 1574년(선조 7)에 석왕사(釋王寺)에서 개판되었다.내용은 신중작법(神衆作法)의 절차, 신묘장구
권관 / 權管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변경지방 진관의 최하단위인 진보에 두었던 종9품의 수장. 조선 초기에도 변경지방의 중요지점에 품외관으로 내금위 등의 금군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변경지방의 방수가 더욱 급박해지자 중종 때부터 조정에서는 무과급제자의 파견을 본격적으로 논의하여 종9품으로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