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목임일 / 睦林一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조참판 첨 증손, 할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서흠, 아버지는 좌의정 내선, 어머니는 윤창언의 딸이다. 1678년 통덕랑으로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검열이 되었다. 평안도에 암행어사로 다녀온 바 있으며, 1682년 지평·부

  • 목자 / 牧子 [경제·산업/산업]

    각 목장에서 우마 사육에 종사하는 사람. ≪신증동국여지승람≫ 제주목조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양노 또는 노자라 했고, 그 뒤 몽고가 제주도의 목장 경영을 위해 목마사육 전문가인 목호를 파견했는데, 1367년(공민왕 16)부터 목자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와 같은 목자

  • 목장 / 木匠 [정치·법제/법제·행정]

    목제품을 만드는 장인. 나무를 다루는 일로 업을 삼는 목수이다. 택사를 짓고 주거를 만드는 자이다. 목수 중에서 대목수는 궁실을 짓는 자이며, 소목수는 기용을 만드는 자이다. 세조 6년(1460)에 선공감에 100명의 목장이 소속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의 목장조직은 국영

  • 목장색등록 / 牧場色謄錄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의 목장에 관련된 일종의 자료집. 필사본. 1834년(순조 34)부터 1873년(고종 10) 사이에 사복시(司僕寺)에서 각도의 감영(監營)·수영(水營)·병영(兵營) 및 전국의 각 목장에 있는 감목관(監牧官)에게 보낸 공문과 각 감목관의 첩보(牒報), 각 관서

  • 목장지도 / 牧場地圖 [경제·산업/산업]

    1663년(현종 4) 허목(許穆)이 지은 목장에 관한 지도책. 『목장지도』 후서(後序)를 보면, 1635년(인조 13) 장유(張維, 1587~1638)가 쓴 근서(謹敍)를 인용하고 있는데, 장유가 당시 제조(提調:관제상 그 기관의 우두머리가 아니면서 그 기관의 일을 다

  • 목재선생문집 / 木齋先生文集 [종교·철학/유학]

    목재 홍여하의 문집. 목판본, 서:권유(1693),12권6책. 권1~2는 시 287제 374수로 이루어져 있다. 권3은 소 4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4는 서 40편, 권5는 설 7편, 논 2편, 기사 1편, 의변 1편, 문 2편, 기적 4편, 전 2편,책제 1편, 서

  • 목재영언 / 木齋詅言 [언론·출판]

    저자 이삼환(1729-1813). 필사본. 2권 1책. 이 책은 모두 42면으로 두 면을 한 장으로 헤아리면 총 21장이 된다. <목재영언>은 구성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앞 부분에는 다섯 편의 산문이 6면에 걸쳐서 실려 있는데, 비교적 짧은 논설문으로 되

  • 목전 / 木箭 [과학/과학기술]

    조선시대 무과의 초시와 복시 때 시험용으로 쓰던 나무로 만든 화살. 대열(大閱: 3년마다 임금이 몸소 참석하여 행하는 閱武)이나 무과를 비롯한 시취(試取: 과거를 보게 하여 인재를 뽑는 일) 또는 교습(敎習)에 사용하는 화살로서, 화살촉은 나무를 깎아 끝을 뭉툭하게 만

  • 목조보살좌상 / 木造菩薩坐像 [예술·체육/조각]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 높이 54cm.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전체적인 조각 기법으로 보아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으로 보인다. 통나무를 깎아 조각하여 보살상을 만들고 양손은 따로 끼워 넣었다. 그러나 왼손은 없어진 상태이다. 상의

  • 목천향교 / 木川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에 있는 향교. 1523년(중종 18)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이후의 향교 연혁에 대해서는 자세하지 않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송조4현(宋朝四賢),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