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금보 / 琴輔 [종교·철학/유학]
1521(중종 16)∼1584(선조 17).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금원수, 어머니는 안동김씨로 장령 김영수의 딸이다. 이숙량·오수영과 더불어 삼절이라 불리었다. 저서로는『사서질의』·『심근강의』·『가선휘편』·『사례정변』·『사례기문』등이 있었으나 병화에
금석주 / 琴錫柱 [역사/근대사]
1857-1920. 의병장. 일명 종헌(鍾憲)·종응(鍾應)·석조(錫祚). 경상북도 봉화 출신. 명성황후시해사건 후 경상북도와 충청남북도일대에서 활약한 의병장이다. 1896년 경상북도 봉화에서 의병장으로 추대되어, 봉화·예안·영주·순흥·풍기·안동의 의진과 공동작전을 펴
금성대군 / 錦城大君 [종교·철학/유학]
1426(세종 8)∼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왕자.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1433년(세종 15) 금성대군에 봉해지고, 1437년 참찬 최사강의 딸과 혼인, 그 해 태조의 일곱 째 아들인 이방번의 후사로 출계하였다. 단종 복위를 계획하였
금영택 / 琴英澤 [종교·철학/유학]
1739년(영조 15)∼1820년(순조 20). 조선 후기 성리학자. 부친은 금일협, 모친은 호군 이시번의 딸이다. 부인은 조도경의 딸이다. 1790년(정조 14) 증광시 생원 3등 62위로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유학하였다.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금원김씨 / 錦園金氏 [문학/한문학]
1817년(순조 17)∼? 조선 후기의 여류시인. 어려서부터 병을 잘 앓아 몸이 허약하므로 그의 부모가 글을 배우도록 했는데, 글을 뛰어나게 잘해서 경사(經史)에 능통했고 고금의 문장을 섭렵하여 시문에 능했다. 평생 남자로 태어나지 못하였음을 한하면서 1830년(순조
금응훈 / 琴應壎 [종교·철학/유학]
1540(중종 35)∼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훈도 금재, 어머니는 김효노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 유성룡·조목과 교우하였다. 1570년(선조 3) 사마시에 합격, 1594년 학행에 의하여 영의정 유성룡 등의 천거를 받아 종묘서부봉사에 제수되
기건 / 奇虔 [종교·철학/유학]
?∼1460(세조 6). 조선 전기의 문신. 고려 때 신돈의 일당인 기현의 후손이다. 학행으로 이름이 높아 세종 때에 포의로 발탁되어 지평에 제수되었다. 이어서 내직으로 옮겨 집의·형조참의·이조참의를 역임하고, 1448년(세종 30) 전라도관찰사 겸 전주부윤에 부임,
기대승 / 奇大升 [종교·철학/유학]
1527-1572.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1558년 과거 급제하여 사관이 되었다. 32세에 정지운, 이황과 <태극도설>을 논하고, 이황과 사칠논변을 통하여 사상적 체계를 완성시켰다. 정지운의 <천명도>는 호씨설에서 나왔고, 이황의 사칠론은 <주자어류>에 지나치게 의존
기르스 / H. K. Гирс [정치·법제/외교]
1820-1895. 러시아 외교관. 러시아 외무대신 기르스는 뿌쉬낀 귀족학교를 졸업하고 1838년에 외무부 아시아국에서 근무하기 시작하였다. 1851년에 몰다비야 주임 영사로 임명, 1856년에 이집트 총영사, 1858년에 발라히야와 몰다비야 총영사로 임명되었다. 18
기산도 / 奇山度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항일투사(1869-?). 박인호·이기 등과 함께 자강회를 조직하여 국권회복에 힘썼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암살단을 조직했다. 이근택을 습격했으나 실패하여 도피했다. 이후 체포되었다.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