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총 1,19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김현감호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시대의 호랑이 설화. 신라 때 처녀로 변신한 호랑이가 김현(金現)과 부부 인연을 맺은 뒤 그를 위해 죽음을 택했다는 설화. 『삼국유사』 권5 효선편(孝善篇) 김현감호조에 수록되어 있다. 두 편의 설화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김현설화’이고, 다른 하나는 ‘신도징
나려문적지 / 羅麗文籍誌 [언론·출판/출판]
신라시대부터 고려 후기까지의 저작을 집성한 목록집. 서목. 1책. 1970년 백린(白麟)과 임종순(任鍾淳)이 집성(集成)하여 국회도서관에서 발행하였다. 수록범위는 신라와 고려 때 사람으로서 문집을 간행한 153인의 저작이며, 내용은 처음에 저자의 성명과 생몰년, 다음
나려예문지 / 羅麗藝文志 [언론·출판/출판]
삼국시대부터 고려후기까지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도서 735종을 조사하여 해제한 목록집. 서목. 1책. 유인본. 이성의(李聖儀)와 김약슬(金約瑟)이 편찬한 것으로, 1964년 서울의 홍문서관에서 250부 한정판으로 간행하였다. 내용은 각종 주제의 서명을 고구려편·백제편·
나성 / 羅城 [예술·체육/건축]
안팎의 이중으로 된 성곽의 바깥 성벽. 삼국시대 초기에는 평지의 왕성과 그 배후에 있는 산성이 조(組)를 이루고 있는 도성이 일반적이었다. 고구려의 처음 도읍지와 평양의 안학궁성(安鶴宮城)·대성산성(大城山城), 백제의 한성(漢城)과 한산성(漢山城)·북한성(北漢城)과 북
나전 화문 동경 / 螺鈿花文銅鏡 [예술·체육/공예]
통일신라시대 때 제작된 청동제 거울. 국보 제140호. 나전 화문 동경(螺鈿花文銅鏡)은 화려한 꽃과 여러 가지의 동물무늬를 나전 기법으로 장식한 거울이다. 나전 이외에도 호박(琥珀), 터키석과 같은 보석들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나전 화문 동경의 지름은 18.6㎝로 가
나주 신촌리 금동관 / 羅州新村里金銅冠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9호 무덤에서 발견된 백제시대의 금동관. 국보 제295호. 나주 신촌리 금동관은 백제가 공주에 도읍하고 있던 시기에 영산강 지역을 다스리던 수장묘(首長墓)인 나주 신촌리 9호분에서 출토되었다. 현존하는 백제 관 중 모관과 대관이 결합된 유
나주오량동요지 / 羅州五良洞窯址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독무덤 전용의 옹관을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456호.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에 독무덤 전용의 옹관을 굽던 가마유적으로, 나주시를 관통하는 영산강 중류인 오량동에서 동수동에 이르는 해발 20m 내외의 낮은 구릉 지역에 위치한다.
나주자미산성 / 羅州紫薇山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88호. 나주평야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있어서 사방으로의 시계가 좋다. 해발 94.5m의 자미산은 구릉에 불과하나, 산정은 편평한 대지로 되어 현재 헬리포트(hel
나주회진성 / 羅州會津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 있는 고대의 토축 성곽.평산성. 시도기념물. 나주시청에서 서쪽으로 약 5㎞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영산강 북안 해발 159m 거마산(擧馬山) 정상부에서 남동 방향으로 뻗은 두개의 능선과 그 중앙의 계곡부을 가로막아 축조하였다. 1984년 발견되
나통산성 / 羅通山城 [예술·체육/건축]
중국 길림성 유화현(柳花縣) 대통구향(大通溝鄕)과 경수하자향(經水河子鄕) 사이 산 위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성곽.산성. 산의 이름은 낙타산(駱駝山)이었다가 와전(訛傳)되어 나통산이라 한다. 해발 960m의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동성(東城)·서성(西城)의 구조로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