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고부인신정기 / 高夫人神政記 [종교·철학/신종교]
증산대도회본부에서 이정립이 증산교 초기의 분파 과정을 서술하여 1963년에 간행한 증산교서. 증산교 초기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서적으로, 증산교의 전신인 증산대도회본부(甑山大道會本部)에서 1963년에 발간하였다. 134면. 프린트판. 1909년 증산교 창시자 강일순
고사 / 告祀 [종교·철학/민간신앙]
집안의 안녕을 위해 가신(家神)들에게 올리는 의례. 최남선(崔南善)은 ‘고시레·고사·굿’을 같은 어원으로 보아 작은 의례를 ‘고시레’라고 하고, 고사는 굿의 규모는 아닌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의례라고 하였다. 장구를 울리고 무악(巫樂)을 갖추어 춤을 추는 것이 굿이라면
고사실기 / 孤査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문덕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실기. 1914년 문덕수의 11세손 문용(文鏞)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곽도(郭鋾)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명서(曺明恕)·장석영(張錫英)·이긍현(李亘鉉)·하겸진(河謙鎭) 등의 발문이 있다.
고사촬요 / 攷事撮要 [종교·철학/유학]
1554년(명종 9) 어숙권이 편찬한 유서. 조선시대 사대교린을 비롯, 일상 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일반 상식 따위를 뽑아 엮은 것이다. 어숙권의 원찬에서부터 1771년(영조 47) 서명응이 ≪고사신서≫로 대폭 개정, 증보하기까지 무려 12차에 걸쳐 간행되었다. 지역별로
고산문집 / 孤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유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5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필사본. 손자 재기(載基) 등이 편집해놓은 것을 1775년(영조 51) 현손 홍진(弘辰)·상진(象辰)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상정(李象靖)·정범식(丁範植)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고산문집 / 鼓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임헌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3년에 간행한 시문집. 1883년(고종 20) 임헌회의 문인 전우(田愚) 등이 편집·간행했으며, 부록은 1932년 김종학(金鍾學)이 간행하였다. 1937년 이인구(李仁矩)가 『전재문집(全齋文集)』이라는 제목으로 석판본 2
고산실기 / 孤山實記 [종교·철학/유학]
고려후기 문신·학자 공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실기. 2권 1책. 석판본. 1918년 그의 후손 희(僖)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병관(李炳觀)·윤영구(尹寗求)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강영직(姜永直)·송영구(宋榮龜)의 발문이 있다.
고산유고 / 孤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윤선도의 시문집. 6권 6책. 목판본. 1791년(정조 15) 전라감사 서유린이 왕의 명을 받고 간행하였다. 그 뒤 정조 22년 전라감사 서정수가 윤선도의 본가에 간직된 목판본을 대본으로 하여 개편, 간행한 것이 오늘날 전하고 있는 ≪고산유고≫이다.
고상안 / 高尙顔 [종교·철학/유학]
1553년(명종 8)∼1623년(인조 1).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충순위증판결사 고극공, 아버지는 증 한성우윤 고천우. 어머니는 신천 강씨 습독 강희언의 딸이다. 1573년(선조 6) 진사가 되고, 1576년(선조 9)에 문과에 올라 함창현감·풍기군수 등을 지
고성소 / 古聖所 [종교·철학/천주교]
천주교에서 세례를 받지 못한 자들이 죽어서 가는 곳. 라틴어인 Limbus(境界)에서 온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