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 용신창사설화 / 龍神創寺說話 [문학/구비문학]

    용신이 출현하여 사찰을 짓는 내력을 말한 설화. 이야기의 구성으로 보면, 용은 불법을 수호하는 용과 나라를 지키는 지킴이라는 상이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야기가 불교에서 유래하였는지는 정확히 알기 어렵지만, 용이 불법도 수호하고 불국토인 나라도 수호한다는 기능적 차이는

  • 용재총화 / 慵齋叢話 [문학/구비문학]

    조선전기 학자 성현이 고려로부터 조선 성종대에 이르기까지의 민간 풍속·문물 제도·문화·역사·지리 등 문화 전반을 다룬 잡록. 10권. 1525년(중종 20) 경주에서 간행되어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전해 오던 것이,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간행한

  • 우렁이각시 [문학/구비문학]

    가난한 총각이 우렁이 속에서 나온 여자와 금기를 어기면서 혼인했으나 관원의 탈취로 파탄이 생겼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가운데 변신담(變身譚)에 속한다. 전국 여러 곳에서 구전되고 있다. 우렁이각시는 자기를 데리러 온 관원의 하인에게 반지·비녀·옷고름·겉옷을

  • 우리동무 [문학/구비문학]

    1927년 한충이「원(猿)의 지혜」·「축계망리」 등 총 30여 편의 이야기를 수록하여 발간한 동화집.전래동화집. 1927년 한충의 운향서옥(芸香書屋)에서 발간하였다. 표지에는 ‘朝鮮童話(조선동화) 우리동무’라 되어 있다. 최남선(崔南善)이 서문을 쓰고, 이상범(李象範)

  • 우애설화 / 友愛說話 [문학/구비문학]

    형제간의 우애를 다룬 설화. 우애설화는 구전 설화로 널리 전해지고 있는데, 형제우애설화라고도 한다. 우애설화는 형제 간의 갈등·우애·경쟁·협력 등의 관계 방식이 주가 된 이야기를 말한다. 이 이야기는 어떠한 어려운 일이 있어도 형제간의 우애를 지키려는 착한 형 또는 동

  • 우탁설화 / 禹倬說話 [문학/구비문학]

    고려 말의 유학자 우탁(禹倬)에 관한 설화. 우탁은 유학에서 인정할 수 없는 민간신앙 행사인 음사(淫祀)를 타파하는 데 아주 강경한 자세를 보였기 때문에 관련 설화가 일찍부터 문헌에 올랐다. 『고려사』 열전에서는 우탁이 영해사록(寧海司錄)으로 부임하였을 때 그 지방 사

  • 우투리설화 [문학/구비문학]

    아기장수인 우투리가 어머니 때문에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에게 죽임을 당하였다는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超人譚)에 속하며, 경상남도 함양, 전라남도 구례, 전라북도 남원 등 지리산 부근에 특히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 설화에 나타나는 날개는 새 시대를 열

  • 우화 / 寓話 [문학/구비문학]

    도덕적인 명제(命題)나 인간 행동의 원칙을 예시(例示)하는 짧은 이야기. 우화는 장르적으로 보면 서사적인 것과 교훈적인 것이 절충된 단순 형식이라 할 수 있고, 그들이 가르치는 교훈은 비교적 저차원적인 사리 분별을 위한 것이나 실용주의적인 것이다. 우화라고 하면 대체로

  • 운명설화 / 運命說話 [문학/구비문학]

    인간의 운명에 관한 이야기. 운명설화는 운명을 인간의 노력으로 거부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 기정 사실화하려는 결말을 가진 이야기와, 인간의 노력에 의해 회피하거나 극복할 수 있다는 결말을 가진 이야기로 양분된다. 운명설화는 여러 가지 형태의 이야기를 수용하고 동시에 극

  • 유이태설화 / 劉爾泰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숙종 때의 명의(名醫) 유이태에 관한 설화. 「허준설화(許浚說話)」와 함께 ‘명의담(名醫譚)’에 속한다. 「유이태설화」는 영남 지방에서 주로 전승되는데 ‘유이태탕’·‘순산비방’ 등이 있다. 유이태가 어느 곳을 지나갈 때, 어떤 사람이 담장 밑에서 약을 달이는데 약

페이지 / 6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