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주택정 / 朱宅正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27(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대건 증손, 할아버지는 식맹, 아버지는 목이다. 어머니는 한여호의 딸이다. 송시열이 덕원에 유배되어 있을 즈음 찾아가 제자가 되었다. 순릉참봉으로 1679년(숙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학유가 되
죽일집 / 竹日集 [종교·철학/유학]
김광엽의 문집. 석인본, 서: 유도헌(1901), 발: 김상학, 권상규, 2권 1책. 권1에는 연보와 시 8제, 계사, 차자, 권2에는 이원익과 이개립에게 보낸 편지 4편과 송시 및 증별시 4제, 만사 22제, 묘갈명, 십대손 김상준이 쓴 우곡별묘고유문이 있다. 이외에
죽전유고 / 竹田遺稿 [종교·철학/유학]
권석호의 문집. 석인본, 서:이가원(1967), 발:김철희(1967), 6권3책. 서는 1967년에 이가원이 쓰고, 발은 김철희가 지었다. 저자의 아들 치하가 지은 <소식>에 따르면, 저자의 시문이 산실는 것을 안타까워했던 백씨가 베껴 둔 것을 김환창과 조병렬에게 부탁
중봉문집 / 重峯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의병장 조헌의 문집. 20권 10책. 활자본. 초간본은 조헌이 순절한 지 22년 뒤인 1613년(광해군 5) 동학 의병 동지였던 안방준이 그의 유문과 사적을 수집, 편찬, 이정구의 서문, 강항의 발문, 그리고 자기의 발문을 붙여서 1615년에 발간하였
중용 / 中庸 [종교·철학/유학]
유교 기본 경전인 사서의 하나. 원래 <예기> 49편 가운데 제31편이었다.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중용의 저자는 자사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북송의 구양수, 소식, 여대림, 청대의 호적, 전목 등은 자사의 저작설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중용>은
증보문헌비고 / 增補文獻備考 [종교·철학/유학]
1903년부터 1908년 사이에 칙명으로 편찬, 간행된 장고 집성의 유서. 총 16고 250권. 1903년 1월 법무국장 김석규의 건의가 채택, 홍문관 안에 찬집소를 두고 박용대·조정구·김교헌·김택영·장지연 등 33인이 찬집을, 박제순 등 17인이 교정을, 한창수등 9
증산교 / 甑山敎 [종교·철학/신종교]
1901년에 강일순이 창립한 신종교. 강일순은 1901년 전라북도 모악산에 있는 대원사에서 대각을 하고 중생을 건지기 위하여 이 세상에 내려왔다고 하였다. 강일순의 호가 증산이기에 교단들을 총칭해서 증산교라고 하며, 일제하에서는 훔치교라고도 하였다. 증산교 사상적 특징
지남집 / 砥南集 [종교·철학/유학]
김남일의 문집. 2권1책. 목판본. 권두에는 조종필의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 권상대, 김성진, 김구현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72수가 실려 있으며, 권2에는 서 8편, 제문 1편, 잡저 1편, 그리고 부록으로 가장, 행장, 묘갈명, 묘지명 각 1편, 제문 3
지눌 / 知訥 [종교·철학/불교]
고려 중기의 승려. 국사로 추증되었다. 정씨, 1158년에 태어나 1210년에 죽었다. 8세때 선문구산의 하나인 사굴산파에 속해 있던 종휘 밑에서 출가, 1182년 승과에 급제하였다. 그는 선종의 계보를 잇고 있지만 참선수행만을 주장하지 않고 교학의 연구도 병행하는 정
지덕붕 / 池德鵬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72년(고종 9). 조선 말기의 유학자. 초명은 지상일(池祥馹), 자는 군거(君舉), 호는 상산(商山), 본관은 충주(忠州)이다. 구와(龜窩) 김굉(金㙆: 1739∼1816)의 문인으로, 시조가 유명하다. 저서는 시문집인 『상산선생문집(商山先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