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군포산본동조선백자요지 / 軍浦 山本洞 朝鮮白磁 窯址 [예술·체육/공예]

    경기도 군포시에 있는 조선시대 생활백자를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342호. 경기도 군포시 산동2동 골안마을에 소재하는 조선백자요지에 대한 발굴조사는 대한주택공사의 산본지역택지개발 조성계획에 따른 구제발굴의 하나로 실시되었다. 이 요지는 발굴조사 전까지 학계에 전혀

  • 군포시 / 軍浦市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중부 서남단에 위치한 시. 동쪽은 의왕시, 서쪽은 시흥시, 남쪽은 화성시·안산시, 북쪽은 안양시·과천시·광명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54′∼ 126°52′, 북위 37°18′∼ 37°22′에 위치한다. 면적은 36㎢이고, 인구는 28만 7519명(2015

  • 군항제 / 軍港祭 [생활/민속]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서 열리는 향토문화제. 매년 4월에 개최되는 시의 문화행사이다. 1952년 4월 13일 북원로터리에 이순신(李舜臣)장군의 동상이 건립, 제막되면서 그 해부터 1962년까지 4월에 해군진해통제부 주관으로 이순신을 추모하고 호국정신을 선양하는 추모제

  • 군현제 / 郡縣制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행정제도. 전국을 몇 개의 행정구획으로 나누고 여기에 중앙에서 임명한 지방관을 파견해 다스리던 중앙집권적 지방행정제도.

  • 군호 / 軍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군중에서 쓰는 암호. 조선시대에는 중앙군사들은 초저녁에 그들을 지휘하는 호군 등을 통하여 병조로부터 군호를 전달받아 서로를 확인하는 암호로 사용하였다. 군호의 결정은 최종적으로는 왕의 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 군후소 / 軍候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병학을 관장하던 관청. 1389년(공양왕 1)에 예학·약학·율학·자학·역학 등 기술학과 함께 10학의 하나로 중시된 병학의 실무교육을 담당하였다. 군후소의 병학은 다른 10학과 마찬가지로 양가의 자제로 하여금 이를 익히게 하였으며, 특히 조선건국 후 행정실

  • 굴거리나무 /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과학/식물]

    대극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 이것은 새잎이 난 뒤에 지난해의 잎이 떨어져나간다는, 즉 자리를 물려주고 떠난다는 것을 뜻하고 있다. 그래서 이 나무의 잎이 달린 가지는 상서로운 것을 상징하는 장식으로 쓰이기도 한다. 얼핏 보면 잎의 모양이 만병초와 닮아서 굴거리나무를

  • 굴렁쇠굴리기 [생활/민속]

    굵은 철사를 둥글게 말아붙인 것을 채에 받쳐서 굴리는 남자아이들의 놀이. 굴렁쇠는 쇠붙이 이외에 대나무를 둥글게 만 것이나 헌 수레바퀴를 사용하기도 한다. 굴렁쇠의 크기도 일정하지 않아서 어린아이 것은 작게 만들지만,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는 살을 떼어낸 자전거 테를

  • 굴업도 / 掘業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속하는 섬. 경기만 남부, 덕적도 남서쪽 13㎞ 해상에 있으며 동경 126°0′, 북위 37°11′에 위치한다. 면적 1.710㎢, 해안선 길이는 13.9㎞이다. 농산물로는 보리·고구마·땅콩 등이 있으며, 연안에서는 굴과 김이 채취되고 있다.

  • 굴원전 / 屈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이본(異本)으로 활자본 「김희경전(金喜慶傳)」, 필사본 「금환기봉(金環奇逢)」 등이 있다. 지리적 배경이나 시대, 등장인물들의 성명 등이 책에 따라 다르나 전체의 구성은 대동소이하다. 허구적인 영웅, 특히 여성을 영웅으로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