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밤섬유원지 / ─遊園地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는 유원지. 밤섬은 조선 현종시대 문신인 이단상(李端相, 1628∼1669)이 벼슬에서 물러나 학문 연구에 힘쓰던 태극정(太極亭)과 정자 내의 연못 경관이 아름답고, 수도권의 단체수련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47번

  • 방기리알바위 / 芳基里卵巖 [지리/자연지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방기리에 있는 바위.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10호. 이 마을에는 높이 약 15m 내외의 작은 산이 있는데 화강암계 자연석들이 불균형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 암석의 큰 것은 둘레 4∼5m, 작은 것은 1∼2m 정도의 것으로 약 1,630㎥ 의 넓

  • 방대산 / 芳臺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과 상남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436m.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으로서 북쪽에는 점봉산(點鳳山, 1,424m)·가칠봉(加漆峰, 1,165m), 서쪽에 가마봉(可馬峰, 1,192m), 남쪽에 맹현봉(孟峴峰, 1,214m), 동쪽에

  • 방축도 / 防築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168명(남 86명, 여 8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0세대이다. 취락은 저지대가 분포하는 남쪽의 구릉지에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03㎢, 밭 0.05㎢, 임야 2.09㎢이다.

  • 배천온천 / 白川溫泉 [지리/인문지리]

    황해남도 배천군 배천읍에 있는 온천. 배천에서 남쪽으로 2㎞ 거리에 있으며, 토해선(土海線) 배천 온천역에서는 1㎞ 미만의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다. 폐온천수는 겨울철 난방용수와 채소·버섯을 재배하는 온실 난방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곳에는 천연기념물 제159호로 지정되

  • 배향산 / 拜向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과 영월군 수주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808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차령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서쪽에 치악산계(雉岳山系)가 솟아 있다. 산의 동쪽에는 태기산(泰岐山, 1,261m)에서 발원한 남한강의 지류인 주천강(酒泉江)이 남쪽으로 흐르면서 곳곳

  • 백덕산 / 白德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과 평창군 평창읍 및 방림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50m. 태백산맥의 줄기인 내지산맥(內地山脈)에 속하는 산으로 서쪽의 사자산(獅子山, 1,120m) 및 사갓봉(1,030m)과 이어진 산계(山系)에 솟아 있으며 산세는 험한 편이다. 북쪽 사면

  • 백두산 / 白頭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함경북도와 중국 동북지방(滿洲)의 길림성(吉林省)이 접하는 국경에 걸쳐 있는 우리 나라에서 최고 높은 산. 높이 2,744m(중국측 발표는 2,749.6m)이다. 휴화산(休火山)으로 북위 41°31′∼42°28′, 동경 127°9′∼128°55′에 걸쳐 있고,

  • 백두용암대지 / 白頭熔岩臺地 [지리/자연지리]

    백두화산대의 화산활동에 의하여 분출한 유동성의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용암대지. 한국의 지붕이라 일컬어지는 개마고원의 일부와 만주 지방의 일부 지역을 덮는 동서 240㎞, 남북 400㎞의 타원형의 용암대지이다. 서쪽은 허천강, 동쪽은 서두수, 동북쪽은 목단강을 따라 영고탑

  • 백령도 / 白翎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에 속하는 섬. 장산곶 남쪽 38°선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인천에서 서북쪽으로 191.4㎞ 떨어져 있다. 남한의 서해 최북단의 땅으로 남한 본토보다 북한 내륙에 가깝다. 동경 124°53′, 북위 37°52′에 위치한다. 면적 46.3㎢, 해안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