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고덕림 / 高德林 [종교·철학/유학]
1885(고종 22) - 1960. 조부 고윤상은 성균관 진사를 지냈다. 부친 고식은 성균관 진사를 지냈으며, 평산 신광욱의 따님에게 장가들었는데, 자식이 없었다. 다시 인천 채주관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1885(고종 22)년 7월 3일에 공을 예동의 자택에서 낳았다.
고도암유고 / 古道菴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심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0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850년 그의 아들 태로(泰魯)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홍익문(洪益聞)·맹성순(孟性淳)의 서문과 권말에 태로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고두만 / 高斗萬 [종교·철학/신종교]
1881-1967.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인·항일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제주도 안덕면(安德面) 상창리(上倉里) 497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익혔다. 한때 민족종교인 보천교(普天敎)에 입교하였었으며, 1936년에는 무극대도교(無極大道敎)의 신도로서
고려국신조대장경교정별록 / 高麗國新雕大藏經校正別綠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수기가 고려대장경의 재조(再雕) 때 교정한 내용을 기록한 불교서.목록집. 30권. 고려대장경의 재조(再雕) 때 교감(校勘)을 맡았던 수기가 교정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송본(宋本)·국본(國本)·거란본(契丹本) 등의 대장경을 대교(對校)하고, 여러 대장경목록
고려주증 / 高麗主證 [종교·철학/천주교]
중국인 예수회 신부 은정형이 샤를르 달레 신부가 편찬한 『한국천주교회사』 중 일부를 한문으로 번역하여 편집한 천주교서.역사서. 1900년 당시 중국에서 의화단(義和團)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대대적인 천주교 박해 때문에 전국의 성당이 파괴, 약탈, 방화되고 신자들이 무수
고려치명사략 / 高麗致命史略 [종교·철학/천주교]
예수회 심칙관 신부가 샤를르 달레 신부의 Histoire de l'Eglise de Corée를 한문으로 번역하여 편집한 천주교서.역사서. 이 책은 한국 천주교회의 창립 과정에서부터 병인 박해기까지의 교회사를 다루고 있는데, 박해에 맞서 불굴의 의지로 신앙을 지키다가
고몽찬 / 高夢贊 [종교·철학/유학]
1793년(정조 17)∼1858년(철종 9). 정필규의 문인으로 과거가 공정하지 못함을 알고 학문에만 힘썼다. 성리학 이외에도 성문, 지지, 음양, 복서, 율력, 산수 등에 통달하였다. 그리고 군제, 전부, 공거 등 당시의 시무에 대해서도 많은 글을 남겼다. 아들은
고봉법장가집 / 高峰法藏歌集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법장이 나옹삼가에 대한 계송과 잡영을 수록한 불교서.게송집. 나옹삼가(懶翁三歌)인 「완주가(玩珠歌)」·「고골가(枯骨歌)」·「백납가(百衲歌)」에 글귀마다 찬송을 붙인 계송(繼頌)과 잡영(雜詠) 100여수가 수록되었다.법장은 1423년 여름 경주원원사(遠願寺
고봉집 / 高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기대승의 시·문·기·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본집 권1에 연보와 시 336수, 권2에 표(表) 13편, 의(議) 2편, 설 2편, 전(箋) 1편, 소 4편, 장(狀) 8편, 차(箚) 1편, 논 2편, 기 8편, 문 11편, 권3에 묘갈명 6편,
고봉화상선요 / 高峰和尙禪要 [종교·철학/불교]
송나라 승려 고봉의 법문을 모아 엮은 불교서. 1권. 이 책은 고봉의 시자 지정(持正)이 기록하고 홍교조(洪喬祖)가 편록하여 『선요(禪要)』라 이름을 붙였으며, 책머리에 홍교조의 서문과 주영원(朱潁遠)의 발문이 있다. 총 29장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가 큰 뜻을 분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