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조선불교혁신론 / 朝鮮佛敎革新論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교조 박중빈이 쓴 책. 1935년에 발표되었으며 총론과 전문 7장으로 되어 있다. 불법의 가르침이 탁월하다는 전제 아래 당시의 불법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각종 각파로 나뉘어져 현상적인 제도나 운영방법에 결함이 있음을 알고 그 폐단을 고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조선신가유편 / 朝鮮新歌遺編 [종교·철학]
손진태가 펴낸 우리나라 최초의 무가집(巫歌集). 1930년에 동경 향토연구사에서 간행하였다. 상단부에는 한글과 한자로 무가를 기술, 하단부에 일본어 번역을 실었으며, 각 자료 끝에 일본어로 해설과 주석을 붙였다. 자료는 1922년에서 1926년 사이에 채록되었으며, 조
조선유교연원 / 朝鮮儒敎淵源 [종교·철학/유학]
장지연이 선유들의 문집 및 어록과 경설에 관한 내용 등을 집록한 책. 1922년에 회동서관에서 간행하였다. 총 3권인 이 책의 권1은 우선 유교의 본질을 서술하고 있다. 권2는 '왕양명전습록변'과 '인물성동이론'의 논쟁을 수록하여 호락시비의 원류와 연구자료를 제공하였다
조선장 / 曺善長 [종교·철학/유학]
1661년(현종 2)∼1726년(영조 2). 조선 후기 유학자. 조희익의 후손이다. 이현일의 문인으로서 퇴계의 학맥을 이었으며, 모여 이명윤과 교유, 정규양·정만양·정석달 등과는 편지로 학문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창주서원에 조상치·조한보·조한영과 함께 배향되었다. 문
조선적 / 曺善迪 [종교·철학/유학]
1697년(숙종 23)∼1756년(영조 32). 조선 후기 성리학자. 조호익의 후손, 부친 조익천과 모친 박창징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이형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벼슬에 뜻이 없어서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며, 세간의 명리에 관심을 두지 않고 성리
조성교 / 趙性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8∼1876). 예조판서·전라도관찰사·사헌부대사헌 등을 지냈다. 전라도관찰사 때 극심한 수재가 나자 납세 기일을 늦추는 등의 백성 구휼과 부족한 병조의 번포를 돈으로 대납하게 하는 등의 선정을 베풀었다.
조성복 / 趙聖復 [종교·철학/유학]
1681(숙종 7)∼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박 증손, 할아버지는 현소, 아버지는 시채, 어머니는 최득일의 딸이다. 1702년(숙종 2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정언을 지냈다. 신임사화 때 삼학사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조세걸 / 趙世傑 [종교·철학/유학]
1648년(인조 26)∼1722년(경종 2). 조선 후기 유학자·효자. 증조는 조인, 조부는 조정익이다. 부친 조유와 모친 이정길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파평윤씨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우애가 돈독하였다.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가 폐출되자
조속 / 趙涑 [종교·철학/유학]
1595(선조 28)∼1668(현종 9). 조선 후기의 서화가. 수륜 아들, 지운의 아버지, 박태상의 장인이다. 덕산현감, 장령, 진선, 상의원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창강일기>가 있으며 광주의 수곡서원, 과천의 호계서원, 서천의 건암서원, 김제의 백석사에 제향되었
조숙하 / 趙肅夏 [종교·철학/유학]
1844년(헌종 10)~미상. 조선 후기 문신. 조재호 후손, 고조는 조관진, 증조는 조운익, 조부는 조용화이다. 부친은 조연권, 모친은 이유원의 딸이다. 생부 조연흥과 생모 박영원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정기세의 딸이다. 1866년(고종 3) 정시 문과에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