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국책문학론 / 國策文學論 [문학/현대문학]

    1940년을 전후하여 ‘국책’의 일방적 전달과 선전을 목적으로 창작된 문학. 1940년은 일본 제국주의가 총력전 체제로 전환한 시기이다. 중일전쟁 이후 일본은 자국은 물론 식민지 전 영역을 전시체제로 재편하였고, 전쟁이 장기화되자 조선 전체를 전쟁 수행이라는 목적하에

  • 국천난고 / 菊泉爛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허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9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활자본. 1889년(고종 26)에 그의 현손 관(瓘)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봉희(權鳳熙), 관의 서문과 세계(世系)가 있고, 권말에 정은교(鄭誾敎)의 후서와 정홍석(鄭鴻錫), 후

  • 국천유고 / 菊川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홍내보의 시·제문·발·명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필사본. 권1·2에 시 111수, 권3에 발 1편, 명 1편, 제문 2편, 잡저 1편, 부록으로 제문 5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시의 「칠봉추영(七峯秋詠)」은 강원(講院)에

  • 국청 / 鞫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명으로 모반·대역 기타 국가적 중죄인을 심문, 재판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한 특별 재판기관 또는 그 재판정. 왕명으로 죄질에 따라 친국·정국·추국·삼성추국으로 구별해 국청을 개설하였다. 국왕이 몸소 참석해 친히 심문하는 친국은 급박한 위험에 대비, 왕궁을 호

  • 국청일기 / 鞫廳日記 [역사/조선시대사]

    1646년에서 1804년 사이에 승정원에서 국가에 중죄를 지은 죄인들의 국문과정을 기록한 일기. 19책. 필사본. 조선시대에 일반죄인을 다스리는 기관으로는 형조·의금부 및 각 지방관서 등이 있었다.그러나 국가적으로 중요하게 다스려야 할 중죄인에 대해서는 국청을 임시로

  • 국촌유고 / 菊村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국림의 서(書)·기·제문·만장 등을 수록한 문집. 2권 2책. 필사본. 벽진이씨대종회에 소장되어 있다.권1에 서(書) 25편, 권2에 기 2편, 애사 1편, 제문 23편, 만장 2편, 명 2편, 잠 2편, 내서첩(來書帖) 3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출신 / 局出身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훈련도감의 하급장교. 정원은 150인이다. 50인씩 3개국(局)으로 나뉘어 편성되었다. 이들은 일반병사들 중에서 무예시험을 통해 선발되었는데, 기원은 1637년(인조 15) 남한산성 방어전에 참여하였던 병사들 중에서 무예시험에 합격한 1,384인을 7개국으

  • 국토개발 / 國土開發 [지리/인문지리]

    국가에 의한 국토 자원의 종합개발. 이것은 국토자원을 종합적으로 개발함과 동시에 이를 보전·관리함으로써, 국토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며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복리 향상에 기여하는 공공 사업적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국토 계획이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

  • 국토연구원 / 國土硏究院 [지리/인문지리]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 보전 개발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무총리실 산하의 정부출연 연구기관. 1978년 10월 4일 건설부 산하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주요 기능은 국토 및 지역개발과 도시계획을 위한 장기정책 조사연구, 국토관계 자료의

  • 국파유고 / 菊坡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민백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고활자본(후기목활자). 1909년 저자의 아들 상혁(尙爀)·종혁(鍾爀)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최익현(崔益鉉)의 서문과 권말에 송병선(宋秉璿)·김현옥(金顯玉)·정면규(鄭冕圭)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