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자류주석 / 字類註釋 [언어/언어/문자]

    1856년(철종 7) 정윤용(鄭允容)이 지은 자전(字典). ≪훈몽자회 訓蒙字會≫와 같은 방식으로 1만800여자의 한자를 유별(類別)하여 거기에 훈과 음을 단 책이다. 이 책은 자류주석서(字類註釋序)·자류주석 목록·자류주석 총론·자류주석 상·자류주석 하·부록 등의 순서

  • 자목당집 / 自牧堂集 [종교·철학/유학]

    채형구의 문집. 석인본, 서: 이기호. 발: 채순식. 2권2책, 1919. 1919년 저자의 후손 순식. 홍원. 인식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기호의 서문, 권말에 순식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81수, 서 39편, 기 1편, 발 1편이 실려져 있다. 권2에는

  • 자문 / 咨文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중국의 육부, 예부와 왕래하던 문서. 자문은 중국의 2품 이상 아문에서 동품, 또는 이상 아문 간에 왕래하던 문서. 자문은 다시 평자(平咨)와 자정(咨呈)으로 구분된다. 평자는 2품 이상 동품아문 간의 문서로 중국 육부는 각부지휘사사에게 평자를 보내었다. 자

  • 자봉유고 / 紫峰遺稿 [종교·철학/유학]

    정교의 문집. 석인본, 서:기우흥. 정창관, 발:정재기. 정휘경, 2권1책. 권1에는 시 16편,서 27통, 서 1편‧ 발 1편‧ 제문 4편‧ 뇌사 1편‧ 잡저 1편 등이 수록되어있다. 권2는 저자를 위한 만사‧뇌사‧제문‧행장‧묘갈명‧발 등을 수록한 부록이다. 18명

  • 자봉집 / 紫峯集 [종교·철학/유학]

    정석호의 문집. 석인본, 서: 서정옥(1919), 이중구, 발: 정병한(1921), 6권 2책. 권1에는 시 50제 83수, 권2는 편지 75편이 수록되었다. 권3은 잡저로 「대학의의문답」이나 「논어의의문답」이 있다. 권4는 저자가 남긴 서문 12편과 기문 5편, 발문

  • 자비도량참법음독구결 / 慈悲道場懺法音讀口訣 [언어/언어/문자]

    『자비도량참법』의 단어와 구절 뒤에 한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 등을 단 책. 대구 개인소장본은 목판본으로 전체 10권 가운데 1권에서 5권까지만 남아 있다. 판본(板本)의 간행 연대가 1381년이므로 책의 간행 연도도 이 시기를 넘을 수 없고, 음독구결의 기입 연대 역

  • 자손보전 / 子孫寶傳 [언어/언어/문자]

    신창 맹씨가 여인이 쓴 한글 문서 34편을 모아 배접한 필첩. 맹지대(孟至大, 1730~1793)의 고조할머니 해주 최씨(1591~1660)로부터 맹흠구(孟欽耈, 1805~?)의 아내 거창 신씨(1801~1848)에 이르는 7대에 걸쳐 맹씨가 내외(內外) 여인의 한글

  • 자전 / 字典 [언어/언어·문자]

    한자를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고 그 독법(讀法)과 의미 등을 해설한 책. 우리나라에서 자전이라는 이름으로 최초로 나타난 것은 1907년에 나온 지석영(池錫永)의 <자전석요(字典釋要)>와 1925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간행한 <신자전(新字典)>이다. 현재는 자

  • 자전석요 / 字典釋要 [언어/언어/문자]

    지석영(池錫永)이 찬정한 우리 나라 최초의 한자자전. 상·하 2권. 1906년 저술을 완성한 뒤 1909년 7월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발행된 이래 1925년 제16판이 간행되었다. 8·15 광복 후에도 1945년 영창서관에서 재판이 간행되었고, 1975년 아세아문화사

  • 자지 / 慈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왕모나 왕비가 내린 전교.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중종반정 때 정당성을 언문교지로 중외에 반포한 사실이나, 인조반정 때 인목대비 김씨의 반포문 등은 모두 자지에 속한다. 또한, 명종이 즉위했을 때 문정왕후 윤씨의 수렴청정시의 교지와 선조가 즉위했을 때 인순왕후 심씨, 순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