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은혜 모르는 인간 / 恩惠─人間 [문학/구비문학]

    생명을 구하여 준 사람에게 짐승은 보은하지만 인간은 배신한다는 내용의 설화. 문헌설화로는 발견되지 않고 구전설화로 전국에 걸쳐 널리 전승되고 있다. 각 편에 따라 보은하는 짐승이 호랑이·사슴·고양이 등으로 이야기되기도 하고 구출된 인물이 주인공의 양자로 있었거나 그의

  • 은혜 모르는 호랑이 / 恩惠─ [문학/구비문학]

    호랑이가 자기를 구해 준 은인을 잡아먹으려다가 다시 곤경에 빠지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함정에 빠진 호랑이를 구해주자 호랑이는 그 사람을 잡아먹으려 하였다. 그리하여 사람과 호랑이는 누구의 행위가 옳고 그른지 판단하려고 황소에게 물었다. 황소는 사람도 우리에게 일을

  • 을숙도 / 乙淑島 [지리/자연지리]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속하는 섬. 갈대와 수초가 무성하고 어패류가 풍부하여 한때는 동양 최대 철새도래지였다. 1987년 하굿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일대는 매우 빠른 지형·수문·생물 등 자연환경에 변화가 나타났다. 2005년에 철새 도래지인 을숙도 일원의 낙동

  • 을왕리해수욕장 / 乙旺里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중구 을왕동의 서쪽 해안에 있는 해수욕장. 을왕리해수욕장은 인천국제공항이 자리한 영종도의 서쪽 끝에 있는 해수욕장으로 서울이나 인천과 같은 대도시에서 가장 가까우며 주변의 자연경관도 매우 뛰어나다. 1963년에 해수욕장으로 개장되었으며, 1986년에 국민관광

  • 음성학 / 音聲學 [언어/언어/문자]

    인간의 언어에서 쓰이는 말소리를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중요한 한 분야로, 말의 소리가 어떻게 생성되고 분류되며 어떻게 쓰이는 가를 고찰. 분석. 기술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말의 소리를 다루는 음성학은 독자적인 학문으로 연구될 뿐만 아니라, 모국어와 외국어의 발음 교

  • 음악무용서사시 / 音樂舞踊敍事詩 [예술·체육/무용]

    음악과 무용을 기본으로 하여 거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서사시적 화폭에 담아내는 대규모의 종합예술형식. 195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0주년을 기념하여 음악무용서사시 「영광스러운 우리 조국」이 처음 공연되어 인민상 계관작품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피바다’

  • 음운 / 音韻 [언어/언어/문자]

    음모(音母)와 운모를 합하여 부르는 개념. 음운은 언어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문(部門, component)의 하나이다. 언어구조의 각 부문은 음운·문법·어휘 또는 음운·통사·의미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를 고전적인 3분법이라 한다면 후자는 변형생성문법 이후에 특히 애용

  • 음운체계 / 音韻體系 [언어/언어/문자]

    한 언어가 가지는 음소들 상호간에 존재하는 유기적인 음운론적 관계. ‘대립’의 개념을 강조한 프라그학파에서는 한 언어에 실재하는 것은 음소 그 자체가 아니라, 한 음소와 또 다른 음소 사이의 음운론적 대립이라는 관점을 취했다. 즉 음소는 다른 음소와 여러 가지 대립 관

  • 음장설화 / 陰長說話 [문학/구비문학]

    거근(巨根)에 관련된 설화. 신라 지철로왕(智哲老王, 智證王)과 경덕왕(景德王)의 음경에 관한 설화가 대표적이다. 『삼국유사』 권1 기이편 제2 지철로왕조와 『삼국유사』 권2 기이편 제2 경덕왕충담사(忠談師) 표훈대덕(表訓大德)조에 수록되어 있다. 신라 제22대 지철로

  • 응보설화 / 應報說話 [문학/구비문학]

    인물이 스스로의 행동동기에 따라 행운 또는 불운한 결과를 받게 된다는 내용의 설화. 모방담의 한 형태이다. 선량한 인물이 순수한 마음으로 행한 행위의 결과인 행복한 결말과 어리석거나 욕심 많은 인물이 욕심을 채우기 위해 행동한 행위의 결과인 불행한 결말 모두를 포괄한다

페이지 / 4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