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정희보 / 鄭熙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83∼1763). 1725년(영조 1)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사헌부집의·병조참지 등을 역임했다. 왕실의 외손이었던 원경하와 관계가 좋지 못해 벼슬길이 순탄치 못했다. 저서로는《퇴성헌유고》가 있다.
정희왕후 / 貞熹王后 [종교·철학/유학]
1418(태종 18)∼1483(성종 14). 조선 제7대 왕 세조의 비. 윤번의 딸이다. 1428년(세종 10)에 가례를 행하였다. 처음에는 낙랑부대부인에 수봉되었다.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되었다. 성종이 즉위할 때의 나이가 13세였으므로 정희왕후가 7년 동
제경욱 / 諸景彧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12년(순조 12). 조선 후기의 무신. 말 6세손이다. 무과급제하여 선전관으로 운총만호, 해서우후가 되어 군비를 쇄신할 때 군민의 폐를 끼치지 않았다. 1811년(순조 11)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자 관서절도영의 청북소모장이 되어 절도사 이
제례 / 祭禮 [종교·철학/유학]
제사의례. 엄밀한 뜻에서는 천신에 드리는 것을 사, 지기에 드리는 것을 제, 인귀에 드리는 것을 향, 문선왕에 드리는 것을 석전이라 하지만『국조오례의』에 각종 제사의례에 대한 내용과 절차가 자세히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국가에서 주관하는 대·중·소의 사전에 대해서만
제말 / 諸沫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장. 제씨의 시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김해·정암 등지에서 대승하였다. 곽재우와 함께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그 뒤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제봉집 / 霽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인·의병장 고경명의 시문집. 목판본. 1617년(광해군 9) 고경명의 아들 고용후가 편집간행하였다. 본집 5권 5책, 속집 1권 1책, 유집 1권 1책, 합 7권 6책. 본집은 모두 시문집으로 이항복과 유근의 서문, 명나라 예부주객 장응회의 서문, 제봉문
제사 / 祭祀 [종교·철학/유학]
조상을 추모하거나 또는 신령에게 기원을 드리는 의식. 국가의 제사로는 천신과 지기에 대한 것이 있는데 각각 원구와 방택에서 지냈다. 특히 사직의 제사를 중요하게 여겼다. 왕가의 제사는 종묘에서 지냈고 일반가정에서는 가묘가 있어 그곳에서 제사를 모셨다. 제사형식은 조선시
제산집 / 霽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성탁의 문집. 16권 8책. 목판본. 권1·2에 시와 만장 296수, 권3에 소 7편, 권4에 연중주대 1편, 사장 9편, 권5∼11에 서 164편, 권12에 잡저 9편, 서 9편, 권13에 서 8편, 기 4편, 제발 8편, 상량문 4편, 전
조경 / 趙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7∼1789). 1763년(영조 39)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예문관검열을 거쳐 부제학·대사성을 지낸 뒤 정조가 즉위하면서 공조참판이 되었다. 그 뒤 좌승지·승문원제조·실록청당상관·대사헌을 지내고, 함경도관찰사가 되어 민폐를 없애고 군무
조경 / 趙絅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69(현종10). 조선 후기의 문신. 수곤 증손, 할아버지는 현, 아버지는 익남이다. 어머니는 유개의 딸이다. 윤근수의 문인이다. 1626년(인조 4) 정시문과에 장원, 정언·교리·헌납, 대제학, 형조판서, 회양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