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 의병·독립운동가 6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의병·독립운동가
  • 이용의 / 李容儀 [역사/근대사]

    1887-미상.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출신지는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둔남면(屯南面) 용정리(龍井里)이다. 1919년 3·1만세운동이 터지자 당시 지방의 유지 이기송(李起松)·오병용(吳秉鎔)·이만의(李萬儀) 등은 거사를 미리 준비하고 3

  • 이윤재 / 李允宰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투사·국어학자·사학가(1888∼1943). 한글맞춤법 제정에 참여하였으며, 조선어사전 편찬 등 한글 보급을 통한 민족운동을 하였다. 조선어학회 《우리말 사전》 편찬위원을 맡았고, 진단학회로 국사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사하였다. 저서로는

  • 임국정 / 林國楨 [역사/근대사]

    1894-1921.항일기의 독립운동가. 1919년 3·1운동 뒤 간도에서 한상호·최봉설 등과 함께 철혈광복단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20년 북로군정서 특파원으로 간도일본영사관에 송금되는 돈을 탈취하여 무기를 구입·공급하다가 밀고로 체포되어 사형되었다.

  • 임규 / 林圭 [역사/근대사]

    1867-1948.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우정(偶丁). 1895년(고종 32) 일본에 가서 게이오의숙 중학교 특별과를 거쳐 동 전수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의 여러 사립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쳤다. 최남선으로부터 민족대표 33인이 서명한 통고문과 선언서를 받아 일본

  • 임득연 / 林得淵 [역사/근대사]

    1896-1953.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북도 안동(安東) 임하(臨河)이다. 3·1운동 이후 전국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자 유북실(柳北實)·임춘섭(林春燮)·임범섭(林範燮)·임찬일(林燦逸)·김원진(金源鎭)·임동숙(林東淑)·임윤익(林潤益)·박유석(朴有石

  • 임백윤 / 任白允 [역사/근대사]

    1880-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기도 광주(廣州) 도척(都尺)이다. 1907년(융희 1) 7월 24일 일제에 의해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이 체결되자 이에 격분하여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의병 봉기가 일어났는데, 같은 해 8월 의병을 일으켰던 임옥여(任玉

  • 임병국 / 任秉國 [역사/근대사]

    1882-1957. 한말의 의병장. 이명은 민호(珉鎬). 전라남도 보성 출신. 서민출신의 의병장이 출현한 후기 의병운동의 중심지였던 보성에서 안규홍의진에 참가하여 좌우익부장(左右翼副將)으로 활약하였다. 1908년 2월 이후 파청대첩(巴靑大捷)·진산대첩(眞山大捷)·원봉산

  • 임병극 / 林炳極 [역사/근대사]

    1885-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출신지는 평안도이다. 1917년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1919년 북간도 대한국민회 군사령부 제2중대장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지나혁명단을 조직하고 병기류 구입에 힘썼다. 1921년 대한북로독군부(大韓北路督軍府) 피복과장을

  • 임병직 / 林炳稷 [역사/근대사]

    1893-1976. 독립운동가·정치가. 호는 소죽(小竹). 충청남도 부여 출생. 1913년 이승만(李承晩)의 알선으로 미국 오하이오 디킨스대학에서 수학하였다. 재학중 《한국학생평론》을 창간하고 그 편집장이 되어 일제의 한국 강점을 폭로하면서 세계자유 우방에게 독립지원을

  • 임봉주 / 林鳳柱 [역사/근대사]

    1875-1921년. 독립운동가. 일명 세규(世圭). 경상북도 영주 출신. 1915년 풍기의 광복단과 대구의 조선국권회복단을 통합하여 조직된 대한광복회에 가담하였다. 1916년 권상석(權相錫)·우재룡(禹在龍) 등과 함께 친일 부호 장승원(張承遠)을 처단하려다 실패하고,

페이지 / 6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