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강첨 / 講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식년문과의 복시 초장과 명경과의 초시·복시에서 강경의 채점용 제비. 강경 채점은 통(通, 2점)·약(略, 1점)·조(粗, 0.5점)·불(不, 0점)의 네 종류로 구분되었다.
강초유고 / 江樵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구연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목활자본. 1924년 그의 후손인 창서(菖書)·달서(達書)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서찬규(徐贊奎)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서석종(徐錫宗) 등의 발문 3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강촌별곡 / 江村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차천로(車天輅)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사. 은거자의 한적한 생활을 노래한 가사이다. 『고금가곡』과 홍만종(洪萬宗)의 『순오지(旬五志)』에 차천로의 작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김천택(金天澤)의 『청구영언』이나 필사본의 『악부(樂府)』·『가집(歌集)』에는
강태공전 / 姜太公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 작품은 중국 주나라의 재상 강태공을 주인공으로 한 역사소설이다. 중국 은나라 때 동해 허주땅에 별호가 태공인 강자아라는 사람이 있었다. 강태공은 곤륜산에서 40년간 도를 닦고 세상에 내려와 마씨와 혼인하여 점을 보아주면서 살았다. 그러던
강파집 / 江坡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권상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5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775년(영조 51)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이만인(李晩寅)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장로(李長老)의 후서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2에 시 25수, 만
강포문집 / 江浦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유홍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6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석인본. 권상규(權相圭)의 편집을 거쳐 1956년에 후손 영희(泳熙)가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권상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전주유씨수곡파지문헌총
강필효 / 姜必孝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64∼1848).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 1800년부터 제자를 모아 학문을 가르쳤다. 1803년 유일로 천거되어 순릉 참봉, 1814년 세자익위사세마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다. 1842년 조지서별제를 거쳐 충청도도사를 역임하였으며, 돈령부
강학년 / 姜鶴年 [종교·철학/유학]
1585(선조 18)∼1647(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강운상, 아버지는 대사헌 강첨이다. 1623년(인조 1) 학행으로 천거되어 연기현감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626년 사어가 되고, 이듬해 신령현감에 임명되어 부임하려 할 때 후금이 침입
강학청 / 講學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세자나 세손으로 책봉되기 전의 원자나 원손의 조기교육을 위하여 설치한 임시관서. 그 체제나 운영은 대체로 시강원의 규례를 모방하였다. 정식으로 강학청이 설치된 것은 1665년(현종 6) 숙종이 원자로 있을 때부터였다.
강학청일기 / 講學廳日記 [교육/교육]
조선시대 강학청에서 왕실 원자(元子)에게 행한 강학 내용과 문답을 기록한 일기. 전 7책. 필사본. 1665년(현종 6) 6월부터 12월까지 1책 39장, 1796년(정조 20)부터 1800년까지 4책, 1876년(고종 13)부터 1879년까지 2책 등으로 구성되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