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동징 / 洞徵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군정의 폐해. 19세기 중엽인 철종 이후에는 정치가 극도로 문란하여, 국법에는 군역의 해당자가 도피하여 10년이 되어도 행방불명인 경우에는 면역조처를 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도피자의 부담을 인근의 주민

  • 동차 / 童車 [과학기술/과학기술]

    작은 짐을 나르는 기구. 네모틀 각 구석에 네개의 바퀴를 달고 앞뒤의 가로대에 끈을 묶어 네 사람이 잡아당기게 되어 있다. 평지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돌이나 작은 석재, 기와 등을 운반하는 데 주로 쓰였다. ≪화성성역의궤≫에, 수원성곽공사를 위하여 동차 192량을

  • 동창춘향가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춘향가」. 「남창춘향가(男唱春香歌)」와 짝을 이루는 작품이다. 필사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두본(星斗本)을 비롯하여 여러 이본이 전해 오지만, 미세한 부분의 차이만 보여 준다. 가람본에는 ‘童唱一云女唱(동창일운여창)

  • 동첨절제사 / 同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진의 장인 종4품의 관직. 조선 건국초인 1395년(태조 4)의 제도에는 4품의 무관직으로서 군·현의 군사를 장악하는 병마단련부사(兵馬團鍊副使)가 있었고, 이 밖에도 남부 해안지역 및 양계의 여러 진에 부임하여 국방에 임하는 병마부사(兵馬副使)가 있었다.

  • 동파관 / 東坡冠 [생활/의생활]

    사대부가 평시에 쓰던 관. 송나라 때 소동파(蘇東坡)가 썼던 관이라 하여 동파관이라 한다. 명나라 때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문인·선비들이 한가히 지낼 때 쓰던 관이다.형태는 당건(唐巾)이나 사방건(四方巾)의 옆에 위로 올라가는 수(收 : 관모의 뒷부분에 붙

  • 동패낙송 / 東稗洛誦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 노명흠이 저술한 한문단편집. 수록된 작품들은 여타의 한문단편집들과 마찬가지로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으며 『청구야담(靑邱野談)』·『동야휘집(東野彙輯)』 등과 서로 일치하는 단편들도 있다. 수록된 작품이 모두 한문단편이라는 것과 문장 표현과 구성이 격

  • 동평관 / 東平館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일본 사신이 머물던 숙소. 조선 전기에 일본과의 외교와 무역에 중요한 구실을 하던 곳으로 왜관이라고도 한다.1407년(태종 7)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동평관에는 관사와 창고를 설치해 그릇과 미곡을 저장하고 일본의 사신과 객인을 접대하였다. 해가 뜨면 문을

  • 동평위공사견문 / 東平尉公私見聞 [언론·출판]

    저자 정재륜(1648-1723). 필사본. 이 책은 전, 후 2책이다. 표제는 <공사견문>, 권수제는 <동평위공사견문>이다. 전편이 65장, 후집이 66장이다. 화수는 전편이 169칙, 후편이 176칙으로 총 345칙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부마인 정재륜

  • 동포 / 洞布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말기 반상에게 공동으로 부관된 군역세. 동포제는 조선 후기 균역법이 호포법으로 이행해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과도기적 형태로서 집단수취체제라는 것을 제외한다면 호포법과 거의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국에 걸쳐 일률적으로 시행한 것이 아니라 지방에 따라 편의

  • 동학가사 / 東學歌辭 [종교·철학]

    동학사상을 전파하기 위해서 만든 가사. 최초의 동학가사는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것들이다. <용담유사>는 1880년 최시형에 의해 <동경대전>과 함께 간행되었다.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동학가사는 그 당시까지 암송되어 오던 것들이다. <용담유사> 이후의 동학가사는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