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국선생전 / 麴先生傳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가전 작품.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가전 작품. 술을 의인화하여 지은 것이다. 작자의 문집 ≪동국이상국집≫ 전집(前集) 권20과 ≪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국선생전≫은 신하는 신하의 도리를 굳게 지켜나감으로써 어진 신
국세 / 國稅 [경제·산업/경제]
국가가 그 세출재원에 충당하기 위하여 국민에게 부과하는 조세. 일제강점기 국세체계는 지세, 호세 등 10개 세목으로 되어 있었으나, 일제가 30여 년간에 세 차례에 걸쳐 대규모의 세제정비를 함으로써 광복 직전 국세체계는 35개 세목으로 구성되는 매우 복잡한 체계를 이루
국순전 / 麴醇傳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작품. 작자의 유고집인 ≪서하선생집 西河先生集≫ 권5과 ≪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임춘은 이 작품을 통해서 인생과 술의 관계를 문제삼고 있다. 즉, 인간이 술을 좋아하게 된 것과 때로는 술 때문에 타락하고 망신하는 형편을 풍자하고
국신도감 / 國贐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에 설치된 임시관청. 국왕과 세자가 몽고에 친조하러 갈 때 드는 여비 및 조공 물자의 조달을 주관하였다. 그런 점에서 반전도감과 똑같은 기능을 지닌 관서이다. 임시관청이라고는 하나 국왕이나 세자의 부연 행차가 잦았던 만큼 상당 기간 존속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국악 / 國樂 [예술·체육/국악]
예로부터 전해 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 아악(雅樂), 당악(唐樂), 향악(鄕樂)을 모두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전통음악과 최근의 한국적 창작음악까지를 포함하는 우리나라 음악이다. 현재 한국 전통 음악(韓國傳統音樂)과 한민족음악 등 다양한 용어로도 통용되고 있는데, 그
국암문집 / 菊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나익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20년 후손 종환(鍾桓)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훈호(李熏浩)·박규환(朴圭煥)의 서문과 권말에 안유상(安有商)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고려대
국암문집 / 麴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송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910년에 그의 후손인 인수(仁洙)와 태현(泰鉉)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박치복(朴致馥)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광진(李光震)·송지식(宋之栻)·송근회(宋根晦) 등의
국암유고 / 菊庵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신면구의 시·기·제문·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필사연대는 미상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시 94수, 상량문 1편, 기 2편, 부록으로 제문 2편, 행장초(行狀草) 1편, 만사 1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시 중 ‘영성군선조묘
국애일고 / 菊涯逸槁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시추의 시·서(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 1책. 필사본. 벽진이씨대종회에 소장되어 있다.시 11수, 서(書) 5편, 잡저 2편, 부록에는 전·유사·정부인김씨정려각관계문헌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시는 주로 한중음(閒中吟)으로, 친구간의
국어 / 國語 [언어/언어/문자]
국어는 한 나라에서 공용어(共用語)로 인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언어, 즉 국가어(國家語, national language). 국가어의 개념은 유럽에서 근대국가의 성립과 함께 형성되었다. 각국이 정서법(正書法)과 표준어(標準語)를 제정하였고, 이를 국민에게 가르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