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정인회 / 鄭寅會 [종교·철학/대종교]
1893년(고종 30)∼1985년. 대종교 최고지도자 중의 한 사람. 1950년 교의회의 의결에 따라 교주계승방식을 전임교주의 권한에 의한 도통전수제에서 교의회의 공선으로 바꾸고 교주의 명칭을 도사교에서 총전교로 개정한 이후, 1955년 9월 제2대총전교에 취임한 것
정일영 / 鄭日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59∼?). 1887년(고종 2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부수찬·규장각직각·교리 등을 거쳐 성균관대사성에 임명되고, 1891년 식년감시(式年監試)의 시관이 되었다. 1900년 강원도관찰사에 제수되었지만 실정으로 말미암아 면직되고
정일영임명문서 / 鄭日永任命文書 [종교·철학]
1907년(융희 1) 8월 26일. 종2품 가의대부 정일영을 궁내부 특진관, 칙임관 3등으로 서임하는 임명장. 궁내부대신 육군부장 훈일등 이윤용(李允用)이 봉칙하였다. 궁내부특진관은 조선 말기 궁내부의 관리로, 1895년(고종 32) 5월에 신설되었으며, 칙임관으로 봉
정일전 / 鄭一銓 [종교·철학/유학]
1714년(숙종 40)∼1796년(정조 20).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중주, 형 정일옥이 있다. 이형상과 정중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53년(영조 29) 식년시 생원 2등 17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이 없었다. 정희·정충필 등과 학문적인 교유를 나누었
정작 / 鄭碏 [종교·철학/유학]
1533(중종 28)∼1603(선조36).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순붕이다. 아버지가 이기·윤원형 등에게 아부하여 세인으로부터 원흉의 한 사람으로 지목,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윤임·유관·유인숙 등을 죽인 뒤 유관의 재산을 몰수 그 가족을 노비로 삼았다. 의술에 뛰어
정재로 / 丁載老 [종교·철학/유학]
1731∼1802(영조 7∼영조 7). 고조는 시옥, 증조는 도명, 조부는 희신, 부친은 지익이다. 어머니는 홍덕상의 딸이다. 생부는 지겸, 생모는 김홍렬의 딸이다. 1731년(영조 7) 4월 1일에 태어났고, 지익의 뒤를 이었다. 1756년(영조 32) 진사시에 합
정재원 / 丁載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1792). 어려서부터 문학에만 힘쓰고 재물에는 뜻을 두지 않았다. 일찍이 광주의 세과에 부방하였는데, 당시 광주유수 이종성으로부터 글의 뛰어남과 뜻의 원대함을 인정받았다. 제술이 영조에게 인정을 받고 곧바로 이조의 관직에 임명되었다. 그
정재집 / 定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박태보의 시문집. 본집 9권, 별집 5권, 후집 6권, 합 20권 7책. 목판본. 본집 권1에 장귀편 등 27수의 오언고시, 한식조화자문 등 12수의 칠언고시, 유수락산요 등 28수의 오언율시, 칠언율시 등 96수, 권2에 오언절구 23수, 칠언절구
정재화 / 鄭在和 [종교·철학/유학]
1754년(영조 30)~1790년(정조 14). 조선 후기 부마. 정철의 후손, 증조는 정구하, 조부는 정유, 부친은 정인환이다. 부인은 청선군주이다. 1766년(영조 42년) 청선군주와 결혼하면서 흥은부위의 칭호를 받았으나, 사헌부지평 홍상성이 정재화가 사람들을 풀
정제 / 鄭梯 [종교·철학/유학]
1689년(숙종 15)∼1765년(영조 41).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사제이다. 정만양과 정규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향시에는 여러 차례 합격하였으나 대과에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오직 학문 정진에 전념하였다. 학문적으로 교유한 인물로 정중기·정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