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동야휘집 / 東野彙輯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이원명(李源命)이 편찬한 야담집. 이 책이 다른 설화집과 다른 체재상의 특징은 우선 서문 및 주제별 분류가 있다는 점인데, 특히 이 책의 분류는 20세기 이전에 국내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설화 분류법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항목으로 모두 13부로 나누었고 각

  • 동약 / 洞約 [사회/촌락]

    조선 중기 이후 재지사족(在地士族)들이 자신들 중심의 신분질서와 부세제(賦稅制)를 유지하기 위해 만든 동 단위의 자치조직. 동계(洞契, 洞稧)·동의(洞議)·동안(洞案)이라고도 한다. 약원(約員)의 명부인 동안(洞案)과 운영규약, 그리고 공유재산인 동물(洞物)이 있었다.

  • 동양서원 / 東陽書院 [교육/교육]

    황해도 평산군(현재 황해남도 봉천군) 마산면 당후리에 있는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숭겸(申崇謙)과 이색(李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7년(숙종 13)에 ‘동양(東陽)’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 동양주 / 冬陽酒 [생활/식생활]

    찹쌀로 한번 덧술하여 빚는 술. 며, 중국의 문헌인 『거가필용(居家必用)』에도 찹쌀에 동양주국(東陽酒麴)과 홍국(紅麴) 등의 누룩을 섞어서 빚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 『규곤시의방』에서는 백미 2되를 가루내어 연한 구무떡을 만들어 물에 삶고, 식으면 누룩가루 2되와 잘

  • 동언고략 / 東言考略 [언어/언어/문자]

    국어 어원을 해석한 책. 2권 1책. 한문필사본. 이본으로 필사본 3종과 1903년정교(鄭喬)의 이름으로 간행된 국한문혼용의 활판본이 있는데, 내용에는 큰 차이가 없다. 편제의 내용은 고담(古談), 속언(俗諺) 상(上), 속언 하 등의 순서로 나뉘어 있다. 또한 ‘고담

  • 동언해 [문학/구비문학]

    편자 미상의 한문속담집. 모두 422수로 『공사항용록(公私恒用錄)』 속에 수록되어 있다. 서법(書法)은 『순오지 旬五志』와 같으나 한역이 『순오지』보다 미숙하며 배열도 자수대로 되어 있지 않고 조잡한 편이다. 이는 그때 그때 들은 대로 적어놓은 속담모음이기 때문인 것으

  • 동여도지 / 東輿圖地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지리학자 김정호가 국가의 통치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편찬한 지리서. 22책. 필사본. 총 22책 중 8책, 14책, 18책 등 3책은 결본이다. 현존하는 지리지는 영남대학교 도서관 17책과 규장각 도서 2책 등 19책이 남아 있다. 『동여도지』를 편찬하게 된

  • 동여비고 / 東輿備考 [지리/인문지리]

    전국의 도별도·군현도 등 32종의 지도를 수록한 지도집.지도첩. 『동여비고』의 구성과 체제를 살펴보면, 32여 종의 지도를 60면으로 나누어 한 책에 수록하였다. 가로는 33㎝∼68㎝이고 세로는 37㎝∼42㎝으로 지도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이 책은 일종의 도별도(道

  • 동영 / 東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어영청의 한 분영. 어영청의 본영은 서울 남소문 동쪽에 있었는데,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신영(新營)·남소영(南小營)·동영·집춘영(集春營) 등을 설치하였다. 공해(公廨)의 하나는 선인문(宣仁門) 밑에, 다른 하나는 경희궁 개양문(開陽門) 밑에 있었다.

  • 동유기 / 東遊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금강산 기행문. 내용은 삼신산(三神山)이 모두 우리나라에 있으며, 그 중에도 봉래(蓬萊)는 금강산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어서 금강산은 중국인들조차 한번 보고 싶다고 하였는데, 이 나라에 태어나서 어찌 못보고 평생의 한이 되게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