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국민문학 / 國民文學 [문학/현대문학]
계급주의 문학에 대항하여 대두된 민족정신 또는 전통 양식의 중요성을 강조한 문학 활동. 최남선, 이광수, 염상섭 등 당시 한국문단의 중견작가들을 주축으로 하여 결속된 이 유파를 ‘국민문학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민문학 운동은 계급주의 문학 운동과의 논쟁이 펼쳐지는 과
국민문학 / 國民文學 [문학/현대문학]
1941년 11월에 창간되었던 월간 문학잡지. 민족항일기 말기의 어용 문학잡지로 최재서(崔載瑞)가 편집과 발행을 함께 맡았고, 발행소는 인문사(人文社)였다. 1945년 2월 통권 제38호까지 발간되었다. 창간 당시의 발간 지침은 국어판(당시 일본어)을 년 4회(1·4·
국민문학운동 / 國民文學運動 [문학]
1926년경부터 프롤레타리아 문학예술운동에 대항하는 문인들에 의해 일어난 문학운동. 문학활동에서 민족 또는 국민의식의 필요를 역설했으며 그 기초 위에서 문학예술이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요인물은 최남선, 이광수, 이병기, 염상섭, 조운, 이은상, 양주동, 주요한
국민방위군사건 / 國民防衛軍事件 [역사/현대사]
1951년 1월 국민방위군의 집단 후송 및 수용에 관련되어 일어난 국고유용 사건. 6.25전쟁중인 1950년 12월 21일, 국민방위군 설치법이 공포되어 제2국민병에 해당되는 만 17-40살의 남자들이 이에 편입되었다. 이에 방귀군 간부들은 이 기회를 이용, 막대한 돈
국민복지회사건 / 國民福祉會事件 [정치·법제/정치]
후계자 선정문제를 둘러싼 공화당내 파벌투쟁. 1968년 5월 24일 공화당 국회의원 김용태가 1971년에 물러나게 되는 박대통령의 후계자로 김종필 의장을 옹립하려다 공화당으로부터 제명된 사건이다. 제명이유를 김종필 의장의 당권장악을 위해 <국민복지연구회>라는 명목으로
국민생활체육회 / 國民生活體育會 [예술·체육/체육]
생활체육 진흥을 통한 국민건강과 체력증진 및 국민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선진 체육문화의 창달 그리고 세계 한민족의 동질성과 조국애 함양을 통한 통일기반 조성을 위해 설립되었던 체육단체. 정부(체육부)에서는 건강한 가정, 건강한 사회, 건강한 국가건설을 위해서는 전국민의
국민수지 / 國民須知 [역사/근대사]
대한제국기 헌정연구회에서 국민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기 위하여 저술한 정치서.계몽서. 본래 그 내용은 『황성신문 皇城新聞』에 1905년 7월 15일자부터 8월 3일자까지 10회에 걸쳐 연재된 「헌정요의 憲政要義」를 대본으로 한 것이었다.이 때 이 글은 헌정연구회(
국민신보 / 國民新報 [언론·출판/언론/방송]
이용구와 송병준이 일진회의 기관지로 1906년에 창간한 신문.일간신문. 1906년 1월 6일 이용구(李容九)·송병준(宋秉畯)이 일진회(一進會)의 기관지로 한성부 중서 미동 제30통 4호에서 창간하였다. 초대 사장은 일진회 회장인 이용구였으며, 자본은 관찰사를 지냈던 일
국민일보 / 國民日報 [언론·출판/출판]
1946년에 창간되었던 일간신문. 1946년 3월 1일 충청북도 청주시 남문로 2가에서 창간된 이 지방 최초의 신문이다. 사장 겸 발행인은 김원근(金元根), 부사장 겸 편집인은 김동환(金東煥), 편집국장은 홍승구(洪承耉)이었다. 처음에는 타블로이드판 2면으로 발행되다
국민장 / 國民葬 [사회/가족]
국가 또는 사회에 뚜렷한 공적을 남기고 국민의 추앙을 받은 사람에게 국민 전체의 이름으로 베푸는 장례의식. 국민장의 결정 여부는 1967년 1월의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과 1970년 6월의 동법률 시행령에 의하여,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결정한다.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