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동서 / 同壻 [사회/가족]
두 사람 이상의 남자 사이에 있어서나 여자 사이에 있어서, 그 아내나 그 남편들이 자매간이거나 형제간일 때에 맺어지는 관계를 이르거나, 또는 그러한 관계에 있는 사람을 일컫는 친족 용어. 남자 사이에 쓰이는 경우는 그들의 아내가 한 집안의 자매관계에 있고, 여자 사이에
동서활인원 / 東西活人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빈민의 질병구료사업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1401년(태종 1) 고려의 제도를 본받아 동서대비원을 설치하였던 것을 1414년 동활인서와 서활인서로 개칭하였다. 그 뒤 1466년(세조 12)의 관제개혁 때 활인서로 통합, 관습적으로 동·서로 나뉘어
동선기 / 洞仙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필사본. 이 작품은 기생을 모델로 한 소설이지만, 부실(副室)인 기생과 본부인 사이를 원만하게 구성하였으며, 특히 기생의 희생정신을 강하게 표현해 놓았다. 전반부에서는 기녀와의 애정담을 엮어서 애정소설로 볼 수도 있다. 한편, 후반부는 우
동성교여집 / 東省校餘集 [문학/한문학]
조선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弘齋全書)』 교인(校印)의 일에 종사한 규장각 각신 15인의 시를 모은 책. 2권 1책. 활자본. 권두에 김조순(金祖淳)·남공철(南公轍)·김이교(金履喬) 등의 서문이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시는 고율(古律)·장단가(長短歌) 등 각체인데,
동성동본불혼 / 同姓同本不婚 [사회/가족]
성(姓)과 본(本)이 같은 남녀 사이, 즉 동일한 남계시조(男系始祖)의 후손 사이에는 촌수에 관계없이 혼인을 하지 않는 제도.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특징 중의 하나가 근친금혼(近親禁婚, incest taboo)이다. 이는 원시사회부터 족내혼(族內婚)과 족외혼(族
동시총화 / 東詩叢話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엮어진 찬자 미상의 시집. 뒤에 간단한 발문이 붙어 있다. 그러나 찬자를 확인할 수는 없다. 권두에 ‘趙恒鎭印(조항진인)’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고, 권말에 ‘貳聲章藏書(이성장장서)’라는 도장이 찍혀 있다. 고려 공민왕 때의 왕방(王昉)·조반(趙胖)의 일에서
동악서원 / 東岳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명산리에 있었던 서원. 1706년(숙종 32)에 문혜공(文惠公) 이안눌(李安訥, 1571∼1637)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현재 서원터는 민묘(民墓)가 조성되고 밭으로 개간되어 완전히 파괴되었다. 다만 건축물의 초석으로 보이는 석
동악시단 / 東岳詩壇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이안눌(李安訥)이 중심이 된 문인들의 모임, 또는 그 장소.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동국대학교 경내이다. 이에 관한 기록이 이안눌의 후손인 이석(李氵+奭) 의 『동강유고(桐江遺稿)』에 실려 있는 「동원기(東園記)」에 있다. 이에 의하면 이 곳에서 당시의
동악집 / 東岳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이안눌(李安訥)의 시문집. 30권 14책. 목판본. 권두에는 신익성(申翊聖)의 서문과 권말에는 식의 발문이 있다. 권1에 북새록(北塞錄), 권2 조천록(朝天錄), 권3 동사록(東槎錄), 권4 호서록(湖西錄), 권5 관서록(關西錄), 권6 단주록(端州
동안 / 洞案 [사회/촌락]
동약(洞約)에 참여하는 인원의 명부. 사족들의 경우 생년월일·호·본관·등과명·부명이 기재되었다. 간혹 동안이라는 명칭이 동약 자체를 지칭할 경우도 있다. 16세기 이래 성행한 동약은 사족들에 의한 향촌지배기구로 구실하였다. 시초에는 동약의 성원자격은 그 동리에 거주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