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정온 / 鄭蘊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유명이다. 어머니는 강근우의 딸이다. 1601년 (선조 39)에 진사,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시강원겸설서·사간원정언을 역임하였다. 광주의 현절사 제주의
정와집 / 靜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석철의 문집. 목활자본. 서: 정종로, 발: 이승연. 조학수. 8권 4책. 1926년 경북 상주의 와연당에서 간행하였다. 서는 주로 사우간에 안부를 묻고 간단한 용건을 다룬 것이다. 「동유기행」은 황산에서 달성, 조령, 청도, 부산, 해운대 등을 돌아보고 경치와 느낌
정우량 / 鄭羽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4). 시성 증손, 할아버지는 인빈, 아버지는 수기, 어머니는 윤희수의 딸이다. 휘량의 형이다.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좌승지·이조참판·병조판서·우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뛰어났다.
정우주 / 鄭宇柱 [종교·철학/유학]
1666(현종 7)∼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수만, 어머니는 조중려의 딸이다. 수성에게 입양되었다. 1691년(숙종 17)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지평, 장령, 승지, 안동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정욱 / 鄭煜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70년(영조 46).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상문, 외조부는 이재륭이다. 처부는 이수춘이다. 이민중에게서 수학하였다. 아들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전서와 초서에 능한 정충필이 있다.
정원시 / 鄭元始 [종교·철학/유학]
1735년(영조 1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정수곤, 조부는 정광겸이다. 부친 정창유와 모친 이탱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정형시이다. 부인은 윤원동의 딸이다. 1771년(영조 47) 식년시 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성균관대사성, 전라도관찰사, 이조
정원용 / 鄭元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3∼1873). 1821년 서북 지방에 괴질이 크게 민심이 흉흉하자 관서위유사가 되어 이를 진정시켰다. 1863년 철종이 죽자, 원상이 되어 고종이 즉위까지 국정을 관장했으며 실록청의 총재관이 되어 《철종실록》의 편찬을 주관했다. 저서로 《경산
정유귀 / 鄭游龜 [종교·철학/유학]
1695(숙종 21) - 1877(고종 33). 아버지는 석후, 어머니는 남양홍씨이다. 고려 때 대장군을 지낸 의립의 후손이고, 5대조는 좌의정 정간공 탁으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인물이다. 부친은 석후이며 모친은 남양 홍씨로 처겸의 딸이다. 향시에는 합격하였으나 이
정유악 / 鄭維岳 [종교·철학/유학]
1632(인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지겸 증손, 할아버지는 환, 아버지는 뇌경, 어머니는 윤상형의 딸이다. 1666년(현종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75년(숙종 1) 승지로 있을 때, 환관이 인사와 상벌 등에 간여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왕에게 간언
정유지 / 鄭維地 [종교·철학/유학]
1601(선조 34) - 1682(숙종 8) 조부는 정윤소, 아버지는 서, 어머니는 영해박씨이다. 방담 권강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이 터지자 종제 정헌과 함께 화왕산으로 가서 곽재우의 의병활동을 도왔다. 1642년에 식년문과를 거쳐 승문정자가 되었다. 1646년 성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