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국문원류연표 / 國文源流年表 [언어/언어/문자]
어윤적(魚允迪)이 국문의 원류에 관하여 작성한 연표. 909년 3월에 집필한 국문연구소 보고서 필사본에 수록된 별표이다. 그는 국문연구소의 사업이 마무리되어 그 보고서에 첨부할 ≪국문연구≫ 1권을 제출하였는데, 이 연표는 그 -‘연원급 자체발음의 연혁’ 끝에 별표 제1
국문초학 / 國文初學 [교육/교육]
1908년 주시경이 지은 국어맞춤법 해설서. 각급 학교 교과용 도서로는 사용되지 않았으나, 어린이들에게 한글맞춤법의 기초를 해설하고, 이를 실제로 익히도록 하는 편찬취지에 따라 지어진 것이다. 모두 49공과(工課 : 단원)로 된 이 책은 각 공과마다 띄어쓰기 대신 구두
국문학개론 / 國文學槪論 [문학/현대문학]
우리어문학회에서 펴낸 국문학 개론서. 각 부분 및 저자는 다음과 같다. 제1부 국문학의 형태-고정옥·제2부 국어학과 국문학-금형규·제3부 한문학과 국문학-정학모·제4부 향가-손락범·제5부 가사-정형용·제6부 시조-정형용·제7부 소설-정형용·제8부 연극-구자균·제9부 민
국문학사 / 國文學史 [문학/현대문학]
조윤제(趙潤濟)가 지은 국문학사에 관한 책. 이 책은 국문학사의 시대 구분을 태동시대(통일신라 이전)-형성시대(통일신라기)-위축시대(고려일대)-소생시대(조선 성종까지)-육성시대(연산군∼임진왜란)-발전시대(임진왜란∼경종)-반성시대(영조∼갑오경장)-운동시대(갑오경장∼3·1
국문학전사 / 國文學全史 [문학/현대문학]
이병기(李秉岐)·백철(白鐵)이 공저한 한국 문학사. 이병도(李丙燾)·이희승(李熙昇)과 지은이 이병기의 서문, 목차, 본문, 백철의 후기, 색인의 순서로 되어 있다. 서문에서 한문학을 숭상하던 이제까지의 관습에서 벗어나 우리의 말과 글로 이루어진 문예작품을 중시하여 그
국민계몽운동 / 國民啓蒙運動 [역사/현대사]
1960년 6월 10일 서울대 학생회의 결의를 시발로 추진된 학생운동 차원의 대국민 계몽운동. 4월 혁명의 주역이었던 학생들은 이승만 정권의 유지는 국민의 무지 때문이라고 판단, 이를 계몽하기로 결의 7월 6일 서울대 국민계몽대를 결성, 8월부터 11일 사이에 7천여
국민교육헌장 / 國民敎育憲章 [교육/교육]
1968년 12월 5일에 반포된 교육헌장. 우리 나라의 교육이 지향해야 할 이념과 근본 목표를 세우고, 민족중흥의 새 역사를 창조할 것을 밝힌 교육지표이다. 1968년 6월에 대통령 박정희(朴正熙)는 당시 문교부장관 권오병(權五柄)에게 ‘국민교육의 장기적이고 건전한 방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 國民基礎生活保障制度 [사회/사회구조]
빈곤층을 대상으로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해주는 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1997년 말 외환위기로 인해 실업과 빈곤문제가 심각했던 상황에서, 빈곤층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해 시민단체들의 청원과 여야 국회의원들의 공동발의(한나라당 김홍신의원 외 131인)로 199
국민당 / 國民黨 [정치·법제/정치]
5.16군사 쿠데타 후 발족한 정당. 군사쿠데타 주체세력의 민정참여가 군사정권의 실질적인 연장이라 보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가칭 신정, 민우의 2개정당과 무소속 및 민주, 민정당계의 일부가 통합, 1963년 8월 1일 창당준비위원회의 결성을 거쳐 그해 9월 5일 창당되
국민대표회의 / 國民代表會議 [역사/근대사]
1923년 중국 상해에서 열린 국민의 대표회의. 국민대표회의는 우리 국민이 역사적 경험과 시대적 사조에 합치한 각오로 전통성에 입각한 민족 고유의 기능을 가장 실제적인 큰 방침(方針)으로 조직력 있게 발휘하려는 대사명이었다. 3ㆍ1독립선언의 정신을 재현시켜 이를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