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국립중앙도서관 / 國立中央圖書館 [교육/교육]

    국가의 모든 문헌을 수집, 정리, 보존하며 이를 국민에게 열람시켜 조사·연구·학습·교양·레크리에이션 기타 사회교육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개관한 국가 중앙도서관. 1923년 11월 일본은 식민지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한국통치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과 연구, 사상의 선도 등을

  • 국립지리원 / 國立地理院 [지리/인문지리]

    국토의 기본 측량, 지도 제작, 지리의 조사와 연구 등을 위하여 설립된 국토교통부 소속의 연구기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에 있다. 1958년 4월 국방부장관 소속 지리연구소로 출발하여, 1961년 2월 내무부장관 소속의 국립건설연구소를 거쳐, 1962년 6월 건

  • 국망봉 / 國望峯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과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걸쳐 있는 산. 국망봉(國望峯)의 높이는 1,421m이다. 이곳은 태백산맥에서 갈라져 나온 소백산맥의 머리 부분으로 도솔봉(兜率峰)·연비봉(燕飛峰)·형제봉(兄弟峰)과 더불어 영동·영남·영서 지방을 구분한다. 동사면은 낙

  • 국망산 / 國望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과 앙성면에 걸쳐 있는 산. 국망산(國望山)의 높이는 770m로, 오대산에서 갈라져 차령산맥에 속하며, 남한강의 지류 미호천(美湖川)에 의하여 단절된 잔구성 산지이다. 주로 화강편마암으로 이루어졌으며, 기암절벽이 많고 험준하다. 원래는 금방산(禽傍

  • 국무원 / 國務院 [역사/근대사]

    1919년 4월 중국의 상해에서 구성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행정부. 입법부인 임시의정원과 함께 임시정부를 구성하였다. 1919년 4월 임시의정원 1차 회의에서 대한민국임시헌장을 반포하였다. 이로써 국무총리를 수반으로 하는 국무원 안에 내무, 외무, 재무, 법무, 군무,

  • 국문 / 國文 [언어/언어·문자]

    한 나라의 고유 글자 또는 그 글자로 쓴 글이다.

  • 국문 / 鞫問 [정치·법제/법제·행정]

    피의자에게서 자백을 받기 위해 형장을 가하는 심문. 형구를 쓰지 않고 심문하는 평문과 구별되는 심리방법이다. 다만, 국문은 왕의 명령이 있어야만 하고 그 범죄로 반역죄나 강상죄와 같은 중죄에 한하였으며, 죄인도 왕명에 의하여 수금되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 국문문법 / 國文文法 [언어/언어/문자]

    1905년 국어학자 주시경(周時經, 1876∼1914)이 손으로 써서 만든 국어 문법책. 『국문문법(國文文法)』은 주시경이 1905년 2월부터 6월까지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에서 국어를 가르칠 때 등사해서 학생들에게 나눠준 것을 합철한 것이다. 필사본(筆寫本)으로

  • 국문연구소 / 國文硏究所 [언어/언어/문자]

    1907년 학부 안에 설치한 한글연구기관. 학부대신 이재곤(李載崐)의 청의로 각의를 거쳐 그해 7월 8일에 설치되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정음청(正音廳) 설치 이후 한글을 연구하기 위한 최초의 국가기관이라 할 수 있다. 설립동기는 19세기 말엽부터 문자문제가 제기되

  • 국문연구안 / 國文硏究案 [언어/언어/문자]

    1907∼1909년에 국문연구소에서 국어 맞춤법 제정을 위해 국문의 연원, 자체 발음의 연혁과 국어의 음운과 철자법 등 14문제에 관해 제출한 연구안과 의안 등의 등사물을 묶은 책. 『국문연구안』은 국한문혼용체(國漢文混用體)이고, 세로쓰기로 되어 있다. 책의 분량은 2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