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국도88호선 / 國道88號線 [경제·산업/교통]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에서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에 이르는 일반 국도. 영양∼울진선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 국도 중에서 가장 짧은 구간 중의 하나로 경상북도 영양군의 북부와 울진군의 남부를 동서로 관통한다.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전형적인 산악형 드라이브 코스이나, 험준
국도신문 / 國都新聞 [언론·출판/언론·방송]
1949년에 창간되었던 일간신문. 1949년 3월 17일 이봉혁이『국제신문』을 인수하여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에서 창간하였다. 1954년 11월 27일 이른바 사사오입개헌파동 당시 국회표결에서 개헌안의 부결이 선포되었으나, 이 신문만은 그날 오후 늦게 호외를 발행하여
국동준 / 鞠東俊 [종교·철학/유학]
1887-1937.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자정(子正)이고, 호는 손재(遜齋)이다. 본관은 담양(潭陽)이며, 전라북도 완주군(完州郡) 화산면(華山面) 운곡리(雲谷里)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국문웅(鞠文雄)이다. 조선 후기 성리학자인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인이
국둔전 / 國屯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초기 둔전 본래의 군수 용도의 명목을 위한 토지. ≪경국대전≫에 의하면 ‘군인이 경작해 그 수확을 군자곡에 보충하는 토지’라고 규정하고 있다.
국로추사조선역사 / 菊露秋寫朝鮮歷史 [종교·철학/유학]
강린이 단군조선에서 신라 말까지의 역사를 여러 사서에서 발췌하여 엮은 역사서. 2권 2책. 목활자본. 1928년에 저자가 쓴 서문이 있다. 표지명은 『국로추사(菊露秋寫)』, 내제명은 『국로추사조선역사』이다. 체재는 단군조선·백제조선·신라조선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국립공원 / 國立公園 [지리/인문지리]
국가의 대표적 경승지를 보호, 육성하고 국민의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국가가 지정 관리하는 공원. 국립공원은 자연경치와 유서 깊은 사적지 및 희귀한 동식물을 보호하고 국민의 보건·휴양·교화(敎化)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지정한 한
국립국어원 / 國立國語院 [언어/언어/문자]
국어의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과 연구 활동을 관장하는 국가 기관. 국어 정책은 국민의 언어생활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정책 방향이 조심스럽게 설정이 되고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그런데 맞춤법, 한글 전용, 국어 순화 등 국어 정책의 여러
국립무용단 / 國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서울에 소재하고 전국에서 공연하는 공공 무용단. 한국의 춤 유산을 계승하고 춤 양식을 개발하여 춤을 진흥하는 데 목적을 두고 1962년 2월에 창단되었다. 국립무용단은 국립극장(서울 명동 소재) 산하 단체로 창단되어 한국무용 계열의 송범과 발레 계열의 임성남의 공동 단
국립발레단 / 國立발레團 [예술·체육/무용]
서울에 소재하고 전국에서 공연하는 공공 발레단. 한국에서 발레의 양식을 정립하고 레퍼토리 개발을 통해 발레를 진흥할 목적으로 1962년 국립무용단 소속으로 창단되었다. 1972년 국립무용단에서 독립하여 국립중앙극장(서울 장충동 소재) 산하 단체로 재출범하였다. 임성남(
국립사회복지연수원 / 國立社會福祉硏修院 [사회/사회구조]
사회복지사업에 종사하는 인력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설치된 교육·훈련기구. 6·25전쟁 후 전후 복구사업과 함께 전쟁으로 야기된 고아, 미망인, 혼혈아 등의 문제가 대두되자, 정부가 사회복지사업에 종사할 인력을 양성하고 훈련하기 위하여 1957년 8월 2일 보건사회부장관